소득에 따른 ‘운동빈부격차’ 점점 커진다

  • 등록 2025.01.30 23:13:07
크게보기

소득 높을수록 걷기, 유산소, 근력 운동 많이해
소득에 따라 최대 10%포인트 차이 나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소득이 높을수록 걷기와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같은 신체활동을 더 많이 실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른바 ‘운동 빈부격차’인데 더 확대되는 추세다.

 

30일 질병관리청의 ‘2023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우리나라 성인 가운데 1주일 동안 걷기를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은 44.5%였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소득 수준이 낮은 ‘하’ 그룹에선 39.1%에 그쳤고, ‘중’은 43.8%, ‘상’은 49.2%로 소득이 높을수록 걷기운동을 많이 했다. 가장 큰 격차는 10%포인트다.

 

2014년 조사에서는 이 격차가 2%포인트에 그쳤는데 2023년 조사에서 5배로 벌어진 것이다.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한 사람의 비율인 ‘유산소신체활동 실천율’도 소득별로 차이가 있었다.

 

19세 이상 전체 성인은 52.5%인데 소득 ‘하’ 그룹에선 48.3%, ‘상’ 그룹에선 57.2%였다. 이 역시 2014년의 3.6%포인트에서 격차가 확대됐다.

 

최근 일주일간 근력운동을 2일 이상 실천한 ‘근력활동 실천율’은 성인 전체의 27.3%였다. 소득 ‘하’ 그룹은 21.4%, ‘상’ 그룹은 32.8%였다.

 

근력운동 실천율도 2014년엔 고소득층(23.2%)과 저소득층(18.0%)의 차이가 5.2%포인트였는데 최근 더욱 벌어졌다.

 

 

윤석준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최근 대학의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인이 건강수명(기대수명에서 질병·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은 71.82세인데 고소득층(74.88세)이 저소득층(66.22세)보다 8.66년 길었다.

 

 

한건수 기자 healtheconews@gmail.com
Copyright @한국헬스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법인명 : (주)국가정책전략연구원 | 제호 : 한국헬스경제신문 | 대표 : 김혁 등록번호 : 서울,아54593 | 등록일 : 2022-12-07 | 발행인 : 김혁, 편집인 : 한기봉 주소: (04520) 서울특별시 중구 무교로 15(남강타워빌딩) 902호 | 전화번호: 02-3789-3712 Copyright @한국헬스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