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소득이 높을수록 걷기와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같은 신체활동을 더 많이 실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른바 ‘운동 빈부격차’인데 더 확대되는 추세다.
30일 질병관리청의 ‘2023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우리나라 성인 가운데 1주일 동안 걷기를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은 44.5%였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소득 수준이 낮은 ‘하’ 그룹에선 39.1%에 그쳤고, ‘중’은 43.8%, ‘상’은 49.2%로 소득이 높을수록 걷기운동을 많이 했다. 가장 큰 격차는 10%포인트다.
2014년 조사에서는 이 격차가 2%포인트에 그쳤는데 2023년 조사에서 5배로 벌어진 것이다.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한 사람의 비율인 ‘유산소신체활동 실천율’도 소득별로 차이가 있었다.
19세 이상 전체 성인은 52.5%인데 소득 ‘하’ 그룹에선 48.3%, ‘상’ 그룹에선 57.2%였다. 이 역시 2014년의 3.6%포인트에서 격차가 확대됐다.
최근 일주일간 근력운동을 2일 이상 실천한 ‘근력활동 실천율’은 성인 전체의 27.3%였다. 소득 ‘하’ 그룹은 21.4%, ‘상’ 그룹은 32.8%였다.
근력운동 실천율도 2014년엔 고소득층(23.2%)과 저소득층(18.0%)의 차이가 5.2%포인트였는데 최근 더욱 벌어졌다.

윤석준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최근 대학의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인이 건강수명(기대수명에서 질병·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은 71.82세인데 고소득층(74.88세)이 저소득층(66.22세)보다 8.66년 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