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건강 좌우하는 근육, “성별 따라 다른 전략을”

  • 등록 2025.02.12 00:38:05
크게보기

“남성은 근육량 늘면 심혈관·대사질환 감소”
“여성은 근감소 없으면 체중증가 무방”
삼성서울병원·경희대병원 공동 연구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노년기 건강을 위해 근육을 만드는 이른바 ‘근육적금’ 효과가 남성과 여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성은 근육량을 키우고 복부 둘레를 줄이는 게 심혈관 질환과 대사 질환 예방에 유효한 반면, 여성은 지방과 근육의 균형을 이루는 게 더 중요했다.

 

단, 남녀 모두 신체 근육량이 감소하는 근감소증이 없는 경우에 한해서다. 특히 여성 노인의 경우 오히려 체중이 늘수록 심혈관·대사 질환 위험이 줄어드는 ‘비만의 역설’이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본부 박준희 교수와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 연구팀(신형은 박사, 김미지 교수)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유럽 폐경 및 남성 갱년기 학회 공식 학술지 ‘마투리타스’(Maturitas)에 최근 게재했다.

 

연구팀은 한국노인노쇠코호트(Korean Frailty and Aging Cohort) 데이터를 이용해 70세 이상 84세 이하 노인의 근육량 변화에 따른 심혈관·대사질환 발생 위험을 분석했다.

 

코호트에서 1634명을 추린 후 근감소증이 있는 노인 353명과 이들과 나이대와 성별이 같으면서 근감소증이 없는 353명을 짝지어 2년간 체성분 변화에 따른 영향을 비교했다.

 

그 결과 근감소증이 없는 남성 노인은 팔다리의 근육량이 1kg 증가할 때마다 심혈관질환 위험은 41%, 고지혈증 위험은 28% 각각 줄었다. 반면 허리둘레가 1cm 증가하면 고혈압 위험이 32% 커졌다.

 

 

이와 달리 근감소증이 없는 여성에서 근육량의 증가는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없었다. 오히려 근감소증이 없는 여성 노인은 체중이 1kg 증가하면 고지혈증 위험이 21% 감소했다.

 

애초 근감소증이 있는 노인은 남녀 모두 근육량을 늘려도 심혈관대사질환 발생을 막는 데 역부족이었다. 특히 근감소증이 이미 있는 여성은 근육량만 키울 경우 고지혈증 위험이 3배 높아졌다.

 

근육량을 늘릴 때 근육 내 지방도 함께 증가하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연구팀은 해석했다.

 

연구팀은 노년기 근감소증이 생기기 전에 근육적금을 쌓되 남성은 근육량을 키우는 쪽으로, 여성은 근육량을 늘리는 것보다는 유산소 운동 등을 병행하며 근육 내 지방 축적을 막아 근육의 질을 개선하는 쪽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건수 기자 healtheconews@gmail.com
Copyright @한국헬스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법인명 : (주)국가정책전략연구원 | 제호 : 한국헬스경제신문 | 대표 : 김혁 등록번호 : 서울,아54593 | 등록일 : 2022-12-07 | 발행인 : 김혁, 편집인 : 한기봉 주소: (04520) 서울특별시 중구 무교로 15(남강타워빌딩) 902호 | 전화번호: 02-3789-3712 Copyright @한국헬스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