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1980년생 여성부터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같은 나이 남성을 앞지르기 시작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태어난 세대일수록 여성의 고학력자 비율이 더 높았다.
국가통계연구원은 27일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교육·취업’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1970년부터 1994년까지 태어난 청년 세대를 5년 단위 코호트(공통된 특성을 가진 인구 집단)로 나누고 교육 수준, 고용, 자립 시기 등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대생 이전까지는 대학 이상 졸업자 남성 비율이 여성을 웃돌았지만, 1980년생부터는 여성이 역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0~84년생의 대학 이상 졸업 비율은 남성이 69.4%, 여성이 72.1%였고, 1985~89년생의 경우 남성은 72.2%, 여성은 77.3%였다. 1990~1994년생부터는 여성의 대학 이상 졸업 비율이 78.5%로, 남성(65.3%)보다 두 자릿수 이상(13% 포인트)이나 높았다.
1990~1994년생은 26~30세를, 나머지 세대는 각각 31~35세일 때를 기준으로 집계한 결과다.

청년층의 취업 시기는 늦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첫 취업 연령을 코호트별로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1975~79년생은 25~29세를 기준으로 22.12세, 1980~84년생은 22.72세로 집계됐다. 1985~89년생부터 23.4세로 높아졌고, 1990~94년생도 23.36세로 유사한 흐름이 유지됐다.
일하지 않고 교육도 받지 않는 이른바 청년 니트(NEET)족의 비율은 모든 세대에서 20세 이후 20% 이상을 기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30대 초반의 전세 비율은 줄고 월세·자가 비율은 증가했다. 1970~74년생이 30대 초반이던 시기 월세 거주 비율은 17.3%로 집계됐다. 이후 1975~79년생이 30대 초반일 때는 19.0%로 증가했고 1980~84년생은 20.8%, 1985~89년생은 21.3%로 늦게 태어난 세대일수록 비율이 늘었다.
자가에서 사는 사람의 비율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30대 초반 자가 거주 비율은 1970~74년생이 48.1%, 1975~79년생이 46.6%, 1980~84년생이 51.1%, 1985~89년생이 49.0%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