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나이가 들면 혹시 치매가 오지나 않을까 걱정이 크다. 치매는 다양한 원인을 가진 질환이다. 단순한 검사 한두 가지로 진단할 수 없다. 무엇을 금방 잊어버린다 해서 다 치매인 게 아니다.
치매 진단은 병력 조사부터 직접 진찰, 신경인지기능 검사, 뇌 영상 검사, 유전자 검사까지 다양한 과정을 거쳐야 정확히 이뤄질 수 있다.
우선 환자의 증상과 변화를 파악하는 병력 조사에선 언제부터 어떤 증상이 나타났고, 시간이 지나며 어떻게 변했는지를 묻는다. 이 과정에서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같은 만성질환 유무, 알코올·약물 복용력, 체중 변화, 외상 이력 등도 함께 확인한다.
직접 진찰은 신체검사, 신경학적 검사, 정신상태 검사 등 세 가지를 한다. 신경학적 검사는 감각과 운동신경의 이상 여부, 근육 위축, 보행 능력, 반사 운동 등을 살펴보는 것이다. 정신상태 검사는 우울증, 불안, 망상 등이 있는지를 본다.
신경인지기능 검사에서는 기억력, 언어 능력, 주의집중력, 판단력, 계산 능력, 수행 능력, 시공간 구성력 등 다양한 인지 영역을 세밀하게 평가한다. 단순한 건망증이 치매로 오인되는 것을 막는다.

뇌 영상 검사는 매우 중요하다. CT와 MRI는 뇌의 구조를, PET는 뇌의 기능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MRI는 뇌의 미세한 변화를 관찰하는 데 효과적이며, PET는 신경세포의 활동성을 파악할 수 있어 조기 진단에 도움된다.
혈액검사, 흉부 X선 검사, 소변검사, 심전도 검사 등도 포함된다. 기본적인 혈액검사를 통해 신체 기능을 전반적으로 평가하고, 매독 반응, 갑상샘 기능, 비타민 결핍 여부 등을 파악한다.
필요에 따라 아포지단백 E(Apolipoprotein E) 유전자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아포지단백 E는 지질 대사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알츠하이머병과의 연관성이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