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비만 관련 지표인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다양한 암들의 발생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암종별로 위험이 커지는 정도는 달랐고, 성별 간 차이도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김성혜 교수,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은 비만 여부와 암 발병 위험 사이의 비선형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캔서 커뮤니케이션즈(Cancer Communications)’에 게재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진은 2009~2020년 건강검진 이력이 있는 약 398만 명(남성 220만 명, 여성 178만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평균 9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나이는 46.7세이고 전체의 6.1%(24만2243명)가 연구 기간 내 암을 진단받았다.

암종별로 보면 간암, 담도암, 췌장암, 위암, 직장암, 자궁암, 난소암, 갑상선암, 신장암, 방광암 등이 비만 또는 복부비만과 관련이 있었다. 다만 암종에 따라 비만 정도에 비례해 발병 위험이 커지는 선형적 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폐암과 후두암 등 일부 암에서는 비만일 때 발병 위험이 작아지는 등 역상관 관계가 나타나기도 했다.
간암은 남성일 경우 체질량지수가 25㎏/㎡ 이상, 여성은 23㎏/㎡ 이상이거나 남녀 모두 허리둘레가 90㎝ 이상일 때부터 발생 위험이 커지기 시작했다. 담도암 역시 체질량지수 25㎏/㎡ 이상부터 위험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대로 폐암은 적정 체중 수준인 체질량지수 23㎏/㎡ 이하에서 체질량지수가 낮을수록 발병 위험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적정 체중 이상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됐다.
연구 결과, 비만이 심해질수록 전체 암을 비롯해 여러 개별 암종의 발병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전체 암 발생 위험은 남성에서 허리둘레가 증가할수록 함께 커지고, 허리둘레가 낮아질수록 그 위험도 작아지는 선형적인 관계를 보였다”면서 “체질량지수는 일반적으로 비만으로 분류되는 25㎏/㎡ 이상부터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비선형적인 경향을 나타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