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박건 기자 |
여름철은 고온 다습한 환경으로 무좀균이 번식하기 쉬운 계절이다. 무더운 여름, 발이 가렵기 시작하면 무좀이 등장한 것이다. 발에 쌓인 땀과 습기는 곰팡이에겐 최적의 공간이다. 그늘지고 축축한 발가락 사이 틈새는 곰팡이가 서식하는 데 최적의 장소다.
무좀을 일으키는 곰팡이는 ‘피부사상균’이라는 진균이다. 피부 위에 몰래 올라타서 각질을 먹고 산다.
무좀은 감기나 눈병처럼 전염성이 높아 가족에게 쉽게 옮긴다. 무좀 환자 3명 중 1명은 가족도 무좀을 갖고 있다. 발에서 떨어진 각질에 곰팡이가 살아남아 욕실, 거실, 매트, 슬리퍼를 타고 전염된다.
여름철 수영장, 찜질방, 대중목욕탕 등은 무좀균이 가장 활발하게 돌아다니는 장소다. 바닥이 젖어 있고 맨발로 다니기 때문에 발이 감염되기 가장 좋은 환경이다.

요즘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도 무좀 환자가 많아졌는데 레인부츠 때문이다. 장화 속은 공기 순환이 잘 안 된다.
무좀은 초반 치료가 아주 중요하다. 겉으로 증상이 가라앉았다고 해서 치료를 멈추면 숨어 있던 곰팡이가 다시 활동을 시작한다. 증상이 사라져도 최소 3주 이상 꾸준히 약을 써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환자의 절반 이상이 일주일도 안 돼 약 바르기를 멈춘다. 이렇게 되면 발톱으로 번지거나 손톱무좀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무좀으로 피부가 갈라진 틈새로 세균이 침투하면 감염이 심해진다. 대표적인 질환이 봉와직염이다. 피부 깊숙이까지 세균이 퍼져 심한 붓기, 열감, 통증을 유발하는 병이다. 이 경우엔 항생제를 2주 이상 써야 하고 심하면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가벼운 무좀도 제때, 제대로 치료하는 것이 최선이다.
[무좀을 예방하려면]
1. 매일 발가락 사이까지 씻고 말리기
2. 통풍 잘되는 신발·양말 착용
3. 같은 신발 연달아 이틀 신지 않기
4. 발 전용 수건 따로 사용하기
5. 발매트는 자주 세탁
6. 수영장·찜질방 갈 때 개인 슬리퍼, 수건 필수
7. 장화 신은 후엔 신문지 넣어 습기 제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