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저염식이 되레 위험한 저나트륨혈증 유발한다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올해 여든 살의 김OO 할아버지는 최근 계단을 내려가다 갑자기 힘이 빠지면서 굴러 넘어져 응급실로 이송됐다. 응급실에서 그는 말을 어눌하게 해 뇌경색이나 뇌출혈이 의심돼 CT와 MRI 검사를 받았으나 특이사항은 없었다. 피검사와 소변검사 등 진단검사에서 삼투압몰 농도 수치가 낮게 나온 김 할아버지는 뜻밖에도 저나트륨혈증을 진단받았다. 할아버지는 1주일간 입원한 뒤 외래 통원진료를 통해 영양제와 나트륨 수액처방을 받고 지금은 완쾌했다. 김 할아버지는 수년간 저염식 식단을 유지해왔다. 고혈압에다 심뇌혈관 이상 등으로 짜게 먹지 말라는 주변의 권유로 소금이 들어있지 않은 식단을 고집해왔다. 건강을 염려해 저염식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소금을 먹지 않아도 되는 걸까. 아니다. 자칫 잘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세게보건기구(WHO)는 성인 기준 하루 나트륨 섭취량을 2000㎎ 이하로 권장하고 있으나 한국인의 평균 하루 나트륨 섭취량은 약 4878㎎으로 WHO 권장 수준의 2배가 넘는다. 나트륨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심혈관 질환, 위암, 신장 결석, 골다공증 위험이 증가한다. 그렇다고 거의 소금을 섭취하지 않는 저염식을 고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