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새해가 밝았다. 올해는 아침에 일어나 천천히 미지근한 물 한 잔 마시는 습관을 가져 보면 어떨까. 정신 건강에도 좋고 몸 건강에도 좋다. 물은 우리 몸의 약 60~70%를 차지하고 있는 필수 요소다. 그만큼 하루에 충분한 양의 물을 마셔줘야 한다. 기상 후 먹는 물 한 잔은 여러 가지 효과를 가져다준다. 아침 식사 대신 우유를 마시는 사람도 있는데 위에 부담을 주어서 공복 상태의 우유는 좋지 않다. ◇공복에 마시는 물 효과 공복에 물을 마시면 혈액·림프액 양이 늘면서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노폐물이 배출될 수 있고, 장운동이 촉진돼 배변 활동이 활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자는 동안에는 땀이나 호흡 등으로 체내 수분이 최대 1리터씩 배출돼 혈액이 끈적해지기 쉬워 심근경색, 뇌경색 등 심뇌혈관질환이 생길 위험이 커진다. 기상 직후 물을 마시면 혈액 점도가 낮아져 이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물을 마신 뒤의 포만감은 과식을 예방하며 물을 소화할 때 열량이 소모되기 때문에 식욕 조절에도 도움이 된다. 이 때문에 식사 30분~15분 전에 물을 한두 잔 마시면 위에 물이 채워져 공복감이 어느 정도 완화된다. 식사 20분 전 물 두 컵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올해 여든 살의 김OO 할아버지는 최근 계단을 내려가다 갑자기 힘이 빠지면서 굴러 넘어져 응급실로 이송됐다. 응급실에서 그는 말을 어눌하게 해 뇌경색이나 뇌출혈이 의심돼 CT와 MRI 검사를 받았으나 특이사항은 없었다. 피검사와 소변검사 등 진단검사에서 삼투압몰 농도 수치가 낮게 나온 김 할아버지는 뜻밖에도 저나트륨혈증을 진단받았다. 할아버지는 1주일간 입원한 뒤 외래 통원진료를 통해 영양제와 나트륨 수액처방을 받고 지금은 완쾌했다. 김 할아버지는 수년간 저염식 식단을 유지해왔다. 고혈압에다 심뇌혈관 이상 등으로 짜게 먹지 말라는 주변의 권유로 소금이 들어있지 않은 식단을 고집해왔다. 건강을 염려해 저염식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소금을 먹지 않아도 되는 걸까. 아니다. 자칫 잘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세게보건기구(WHO)는 성인 기준 하루 나트륨 섭취량을 2000㎎ 이하로 권장하고 있으나 한국인의 평균 하루 나트륨 섭취량은 약 4878㎎으로 WHO 권장 수준의 2배가 넘는다. 나트륨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심혈관 질환, 위암, 신장 결석, 골다공증 위험이 증가한다. 그렇다고 거의 소금을 섭취하지 않는 저염식을 고집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세계보건기구(WHO)는 물을 많이 마시면 질병의 80%를 예방할 수 있다고 말할 정도로 물의 효능은 탁월하다. 물을 마시지 못하면 생명 연장이 되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시도 때도 없이 물을 많이 마시려고 한다. 과연 그게 몸에 좋을까. 뭐든 지나친 건 몸에 좋지 않다. ◇물을 지나치게 많이 마시면 가장 좋지 않은 영향은 체내의 수분과 전해질 농도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짧은 시간에 과다한 물이 신체에 들어오게 되면 많은 양의 물을 처리하기 위해 적당한 전해질 농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부족해진다. 속이 울렁거리고 어지럼 증상까지 생길 수도 있다. 위험한 건 혈액의 전체 부피가 증가하고 염분 대비 수분의 양이 늘어나 쇼크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다. 수분이 늘어나면 반대로 나트륨 농도가 낮아지는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신장에 과도한 부담을 가해 신부전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신장 기능이 약한 사람들의 경우 과도한 물 섭취는 신장 기능을 지속적으로 떨어지게 한다. 또 매일 물을 과도하게 마시면 ‘물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물중독은 체내의 전해질 농도가 치솟고
한국헬스경제신문 이상혁 기자 | SPC그룹(대표 허영인)이 폭염 대비 근로자 안전관리를 위한 특별점검에 나섰다고 7일 밝혔다. SPC그룹은 폭염이 연일 이어지는 가운데,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고용노동부의 ‘3대 중점사항(물, 그늘, 휴식)’이 현장에서 잘 이행되고 있는지 특별 점검하고, 폭염 대비 근로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활동을 전사적으로 실시한다. SPC삼립은 공장장과 보건관리자가 근로자 건강상태를 직접 체크하고 이온 음료 또는 아이스크림을 제공하며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활동에 나섰다. 샤니는 화채를 만들어 제공했다. SPC GFS는 일부 지게차에 에어컨을 설치하여 근로자가 더위에 지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파리크라상은 포도당 비치, 쿨링조끼, 넥쿨러를 나눠주고 있다. SPL은 안전결의대회를 개최하고 온열질환 예방은 물론 안전한 근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사 임직원에게 사내 메신저를 통해 폭염에 따른 건강 수칙을 안내하는 등 전사적으로 근로자 안전을 위한 활동에 나섰다. 또한 ▲적절한 냉방 온도 유지 ▲무더위 쉼터 운영 ▲폭염경보 발령시 특별 휴식 ▲폭염경보 발령시 옥외작업 최소화 등을 통해 근로자가 쾌적하고 안전하게 일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