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반려동물 구강관리 어떻게 해야 할까
한국헬스경제신문 | 이후장 경상국립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구강보건의 중요성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지난 6월 4일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제79회 구강 보건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 바 있다. 올해 구강 보건의 날 슬로건은 구강이 건강해야 몸과 마음이 행복해진다는 의미로 ‘우리 건강, 이 행복에서부터’로 정했다.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은 구강 건강이 전신 건강에도 영향을 주고, 어릴 때부터 관리하지 않으면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구강 건강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반려동물도 마찬가지이다. 미국수의사협회(AVMA)는, 3세 이상 반려견 80%와 반려묘 70% 이상이 치과 질환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미국수의치과협회(AVDS)에 따르면, 반려동물은 치아 관리만 잘해 줘도 수명이 20∼30% 연장될 수 있다고 한다. 반려동물의 주요 구강 질환 반려견의 구강 질환은 구강염, 구내염, 치주 질환 등 다양하며, 주로 플라크와 치석 축적, 잇몸 염증, 입안 상처 또는 감염 등으로 발생한다. 이 질환들은 반려견에게 불편함과 통증을 주며, 심한 경우 식사를 제대로 할 수 없게 하고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도 영향을 미친다. 반려견 구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