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무월경으로 들여다본 호르몬 이상 신호
한국헬스경제신문 | 박은직 하나로의료재단 호르몬건강클리닉 원장, 내분비내과전문의 가임기 여성은 평균적으로 한 달에 한 번 생리를 한다. 그런데 20~30대 여성의 3~4%는 무월경을 경험한다. 무월경은 스트레스나 피로, 특정 약물 복용의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자궁이나 난소의 질환 또는 기능성 시상하부 무월경, 고프로락 틴혈증, 다낭성 난소 증후군 등 다양한 내분비 질환이 원인일 수 있는 만큼 간과해서는 안 된다. 무월경으로 인한 건강 이상 무월경은 생리가 없는 상태로, 원발성(일차성)과 속발성(이차성)으로 나뉜다. 원발성 무월경은 15세가 넘어도 첫 생리가 없는 상태로, 염색체 이상이나 태어날 때부터 몸 구조에 문제가 있어 발생한다. 속발성 무월경은 정상적으로 생리를 하던 여성이 3개월 이상 생리를 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무월경이 지속되면 임신이 어려워지고, 여성호르몬 부족으로 인한 골다공증, 심혈관계 질환 위험률이 상승한다. 특히 원인이 호르몬 불균형일 경우, 각 호르몬 이상에 따른 다양한 증상과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무월경의 내분비적 원인 •기능성 시상하부 무월경 : 속발성 무월경의 가장 흔한 원인은 '기능성 시상하부 무월경'으로, 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