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영양

한국인, 여전히 너무 짜게 먹는다

WHO 권고 기준 1.5배 나트륨 섭취...“배달음식 영향”
당류 섭취는 WHO 기준 이하로 줄어
식약처, 국민건강영양조사 발표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이 여전히 많아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보다 1.5배나 많은 걸로 조사됐다.

 

당류 섭취량은 WHO 권고 기준보다 낮지만 일부 어린이와 청소년 연령층에서는 초과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5년(2018~2022년)간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국민의 나트륨·당류 섭취량을 분석해 30일 발표했다.

 

우리 국민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2018년 3274㎎에서 2022년 3074㎎으로 200㎎(약 6.1%) 감소했다. 식약처는 사람들이 나트륨이 많은 ‘김치, 국·탕·찌개, 면류’를 덜 먹은 영향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나트륨 섭취량은 여전히 WHO 권고 기준(2000㎎/일, 소금으로 환산 시 5g)보다 1.5배 높은 수준이다. 하루 평균 남성은 3576㎎, 여성은 2573㎎을 섭취했다.

 

식약처는 음식점에서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은 점차 감소했지만 코로나 이후 가정에서 배달·포장음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식약처는 “가정에서 소금, 젓갈 대신 표고·다시마·멸치가루 등을 쓰는 게 좋다”고 권고하고 “음식 배달을 주문할 때는 양념을 따로 요청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당부했다.

 

한편 2022년 국민이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당류 섭취량은 2018년 36.4g(1일 총 열량의 7.4%)에서 2022년 34.6g(1일 총 열량의 7.6%)로 5년간 비슷한 추세를 유지했다. 이는 WHO 권고 기준보다 낮다.

 

식약처는 “5년간 당류가 많이 들어간 음료류 소비가 약 30% 증가했음에도 음료류를 통한 당류 섭취량은 늘지 않았다”며 “탄산음료 대신 당류가 적은 탄산수 등을, 믹스커피 대신 블랙커피를 많이 섭취하는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일부 어린이·청소년 등의 집단에서는 WHO 권고 기준을 넘어 1일 총열량의 10% 이상 섭취했다. 빵류와 당 함량이 높은 과일·채소음료류, 탄산음료 등을 많이 섭취한 게 영향을 준 것으로 식약처는 분석했다.

 

한편, 식품을 구매하기 전 ‘영양성분’ 표시를 확인하는 게 나트륨·당류 섭취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조사에서 영양표시를 보는 사람은 보지 않는 소비자보다 나트륨은 187mg, 당류는 3.3g 적게 섭취했다.

 

식약처는 나트륨·당류 저감 표시 대상 식품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영양표시 확인방법 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