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

“대기오염이 초경을 앞당긴다”

초미세먼지 등이 성조숙증 유발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대기 오염이 여성의 초경 연령을 앞당기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영국 BBC 방송이 여러 연구 결과를 인용해 5일 보도했다.

 

BBC는 “미국 여성들이 100년 전보다 최대 4년가량 초경을 더 빨리 시작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면서 “이런 추세는 전 세계에서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미세먼지 같은 대기 오염이 한 원인으로 꼽힌다”고 보도했다.

 

BBC에 따르면 1950∼1969년에 태어난 미국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12.5세에 초경을 시작했지만, 2000년대 초반 출생자들의 초경 연령은 평균 11.9세로 더 빨랐다.

 

미국 애틀랜타 에모리대의 오드리 개스킨스 교수팀은 지난해 10월 태아기나 유년 시절 초미세먼지(PM2.5)와 미세먼지(PM10)에 다량 노출된 경우 초경 연령이 빨라질 수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초미세먼지 입자는 혈류로도 쉽게 들어갈 수 있고 폐로 흡입하면 다른 큰 입자들처럼 걸러지지 않고 장기에 도달할 수 있는데 특정 초미세먼지 입자가 태반과 태아의 조직, 난소에 축적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개스킨스 교수는 사춘기가 일찍 시작되면 폐경이 빨라지거나 가임기가 줄어드는 등 성인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성조숙증은 유방암이나 난소암, 비만과 제2형 당뇨병 같은 대사증후군, 심혈관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발병 위험과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돼 왔다.

 

미국 UC버클리대 브렌다 에스케나지 교수는 “기후변화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아동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여전히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며 “그러나 환경오염 물질과 비만, 심리·사회적인 요인 등이 초경 연령을 낮추는 복합적인 요인일 수 있다”고 BBC에 말했다.

 

BBC는 대기오염과 성조숙증의 연관 관계를 다룬 한국 이화여대 연구팀의 연구도 소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2008년에서 2020년 사이에 8세 이전에 유방 발달이나 초경 등 성조숙증 징후를 보이는 여아의 수가 16배 증가했는데 이는 대기오염과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2022년에는 폴란드 연구진이 1257명의 여성을 조사한 결과, 질소 가스가 11세 이전에 초경을 시작하는 것과 연관이 있다는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