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스치는 바람에도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는 ‘통풍’은 술을 자주 마시고 고기 위주의 식사를 즐기는 중년 남성이 잘 걸리는 질환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술을 마시지 않는 여성들이 비슷한 관절 통증을 호소해서 통풍으로 오인하는 일들이 있다. 바로 ‘가성통풍’이다. 통풍과 비슷하게 가벼운 자극에도 극심한 통증이 온다. 정확한 의학적 명칭은 ‘칼슘 인산염 결정 축적 질환(CPPD)’이다. 발병 원인과 부위, 발병 연령, 성별 등에서 통풍과 차이가 있다. 통풍은 요산 결정이 관절에 쌓여 발병하지만, 가성통풍은 칼슘의 결정이 관절 연골이나 주변 조직에 쌓이며 관절염 또는 관절주위염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두 질환 모두 단관절염(한 개의 관절에 나타나는 관절염) 또는 빈발관절염(몇 개의 관절에 국한된 관절염) 형태로 나타난다. 부갑상선기능항진증, 혈색소증 등으로 호르몬 변화가 찾아와 칼슘 대사가 영향을 받아 발생하기도 하며, 탈수 때문에 체내 미네랄 균형이 깨졌을 때도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풍은 20대부터 발병하기 시작해 나이 들수록 유병률이 증가하며 발생 부위는 엄지발가락, 발목, 무릎 등이다. 반면 가성통풍은 주로 6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겨울 날씨는 관절 건강관리와 직결된다. 갑자기 추워진 날씨는 혈관을 수축시킨다. 그러면 혈액순환이 불량해지면서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무릎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추운 날씨로 인해 활동량이 줄면 관절 주변의 근육과 인대가 약해질 뿐 아니라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큰 통증을 느낄 수 있다. 관절염 환자는 겨울철에 관절을 따뜻하게 보호해야 한다. 혈액순환을 위해 반신욕이나 족욕, 온찜질, 사우나를 자주 하는 것이 좋다. 야외나 추운 실내에서는 무릎 담요를 사용해 무릎을 따뜻하게 보호하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추위가 관절염 자체를 악화시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날이 추워지면서 통증 민감도가 높아져 통증을 더 잘 느끼게 되는 것이다. 관절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체온은 36~38도로 유지하는 게 적절하다. 외출 시에는 내복을 입거나 얇은 옷을 여러 겹 입어 체온을 유지하고, 손·발·목 등 추위에 노출되는 부위를 가리는 것이 좋다. 스카프나 목도리 착용이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체온을 3도가량이나 높여준다. 외출 후에 무릎 통증이 느껴진다면 온찜질로 바로 근육을 풀어준다. 무릎에 부종이나 물이 차는 증
한국헬스경제신문 | <이기범 서울의과학연구소 병리과 전문의> 골관절염이란 몸의 하중이 가해지는 관절 연골에서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연골이 서서히 파괴되는 질환이다. 나중에 연골이 전부 탈락되면 연골 밑의 골이 노출되고 관절이 움직일 때마다 골과 골이 맞부딪친다. 이때 통증이 발생하고 주변 활막과 인대에까지 염증이 유발되는데, 손가락관절·척추·고관절·무릎관절에서 흔히 나타난다. 골관절염의 여러 가지 원인 첫째, 골관절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노화이다. 나이 들어가면 연골에서 물을 잡아매는 프로테오글라이칸이란 물질 생성이 줄어 연골에 수분이 줄어들면서 탄성도 함께 준다. 그러면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연골세포에 작용해 연골세포가 죽고 연골의 콜라겐 섬유가 풀어헤쳐지기 시작한다. 세포 외 기질분해 효소도 연골 파괴에 한몫한다. 우리는 쉴 새 없이 움직이는데 그때마다 관절 연골은 점점 탈락된다. 50대 이후에는 남자보다 여자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폐경과 관련이 깊다. 파골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둘째, 과도한 사용이다. 보통 속도로 걸을 때 무릎관절에는 체중의 약 2.5~3배의 무게가 실린다. 달리면 3.5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