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

추워지면 아파지는 관절염...무릎 관리 이렇게

관절염 환자는 무릎 따뜻하게 보호해야
반신욕 족욕 온찜질 자주 해야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겨울 날씨는 관절 건강관리와 직결된다. 갑자기 추워진 날씨는 혈관을 수축시킨다. 그러면 혈액순환이 불량해지면서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무릎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추운 날씨로 인해 활동량이 줄면 관절 주변의 근육과 인대가 약해질 뿐 아니라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큰 통증을 느낄 수 있다.

 

관절염 환자는 겨울철에 관절을 따뜻하게 보호해야 한다. 혈액순환을 위해 반신욕이나 족욕, 온찜질, 사우나를 자주 하는 것이 좋다. 야외나 추운 실내에서는 무릎 담요를 사용해 무릎을 따뜻하게 보호하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추위가 관절염 자체를 악화시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날이 추워지면서 통증 민감도가 높아져 통증을 더 잘 느끼게 되는 것이다.

 

관절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체온은 36~38도로 유지하는 게 적절하다. 외출 시에는 내복을 입거나 얇은 옷을 여러 겹 입어 체온을 유지하고, 손·발·목 등 추위에 노출되는 부위를 가리는 것이 좋다.

 

스카프나 목도리 착용이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체온을 3도가량이나 높여준다.

 

 

외출 후에 무릎 통증이 느껴진다면 온찜질로 바로 근육을 풀어준다. 무릎에 부종이나 물이 차는 증상이 있을 때엔 얼음찜질을 해야 하고 통증이 동반된다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추위로 인해 옷이 두꺼워진 상태에서 움츠리다 보면 어깨나 목, 팔이 경직되기 쉽기 때문에 틈틈이 스트레칭도 해준다.

 

평소 적절한 운동은 관절을 부드럽게 풀어준다. 걷기나 수영, 아쿠아로빅, 실내 자전거 타기 등 관절에 부담이 적은 운동이 좋다.

 

관절염 환자에게 가장 권장할 만한 운동은 ‘걷기’다. 잘 걷기만 해도 관절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보폭을 넓게 하고 빠르게 걸으면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무릎 관절 건강에 중요한 근육은 허벅지 근육이다. 실내 자전거, 스쿼트 등으로 허벅지 근육을 단련하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