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

금연클리닉, 보건소와 병원 어디가 좋을까

보건소는 처음부터 무료, 금연 패치 등 제공
병의원은 1, 2차 진료 및 약값 소액 내지만 전액 환불 받아
병의원은 금연 패치보다는 처방약 제공
보통 3-6개월 과정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담배를 쉽게 끊지 못하는 이유는 니코틴 의존성 때문이다. 담배 연기에 섞여 체내에 들어간 니코틴의 약 25%는 뇌의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결합한다. 그러면 도파민 호르몬 분비가 늘어 즐거움과 불안 감소 등의 기분을 느끼게 된다. 흡연이 주는 보상이 직접적이다 보니 계속 갈망하게 된다. 국내 성인(19세 이상)의 흡연율은 2022년 기준 17.7%다.

 

혼자 금연을 시도하는 건 실패율이 높다. 정부의 ‘금연 치료 지원사업’ 아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은 두 군데다. 보건소와 동네 병의원이다.

 

보건소와 병원의 금연 치료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보건소의 금연 치료는 무료다.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기본적인 금연 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진다. 니코틴 의존도를 평가하는 검사를 받은 후 그에 맞는 패치나 껌, 사탕 등 금연 보조제를 받는다. 보통 6개월 정도 상담이 주기적 방문이나 전화로 진행되며 금연이 성공하면 텀블러나 운동용품 같은 선물을 준다. ​단점이 있다면 병원처럼 강력한 금연약을 처방받을 수는 없다는 점이다.

 

보통 내과나 이비인후과 같은 병원에서의 금연 치료는 8주에서 12주까지 진행된다. 6회 안팎의 의사 진료와 상담이 있다. 병원은 보통 안전성이 입증된 금연약을 처방해준다. 이 약들은 패치나 껌처럼 니코틴이 포함된 게 아니라 담배를 피우면 역겨운 느낌을 유발시켜 흡연 욕구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수면장애나 꿈꾸기 등 일부 부작용도 보고되고 있으나 안전성이 검증된 것들이라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런 처방약이 싫으면 보건소처럼 의사에게 금연 패치 등을 요구해 받을 수도 있다.

 

병원의 1, 2차 진료에는 진료비와 약제비 본인 부담금 20%만 지원되지만 3회 차부턴 본인부담금이 전부 면제된다. 1, 2차 진료에서 약값까지 포함해 1만 원 이상 들지 않는다. 6회 차 상담을 받거나 금연 치료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본인이 낸 진료비 약제비 전액을 돌려받는다. 사실상 보건소처럼 무료인 셈이다. 지역별 금연 치료 의료기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앱이나 홈페이지에 나와 있다.

 

병원은 보다 포괄적이고 전문적인 치료와 정신적 진단도 병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건소보다는 유리하다.

 

 

보건소든 병원이든 자신의 상황에 맞는 곳을 택하면 된다. 금연 성공에 자신이 있다면 전액을 환불받을 수 있는 병원을 꺼릴 이유가 없다. 자주 가는 동네 병의원이 있다면 금연치료를 신청할 만하다. 보건소가 가깝고 보건소 건강 프로그램을 자주 이용한다면 보건소 금연클리닉도 훌륭한 선택이다.

 

담배를 끊기 위해선 생활 습관 개선도 필요하다.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은 체내에 축적된 니코틴과 타르를 배출하는 데 도움 된다.

 

검은콩과 등푸른 생선, 당근, 양파 등 금연에 효과적인 식품을 먹는 것도 좋다. 등푸른 생선은 흡연으로 인해 손상된 혈관 내벽을 보호하고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다. 검은콩은 이뇨 작용을 활성화해 몸속 노폐물을 배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 짜고 매운 음식, 기름진 음식은 흡연 욕구를 자극할 수 있어 피해야 한다. 술 역시 자제하는 게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