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방귀는 우리 몸의 소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생리적 현상이다. 소화 기관 내에서 생성된 가스가 항문을 통해 배출되는 것인데 건강 상태를 이해하는 데 단서를 줄 수 있다.
방귀의 주성분은 질소(N₂), 산소(O₂), 이산화탄소(CO₂), 수소(H₂), 메탄(CH₄)이다. 냄새가 나는 건 황화수소(H₂S), 인돌, 스카톨과 같은 황 및 질소 함유 화합물 때문이다.
방귀가 생기는 이유는 소화 중 장내 박테리아가 음식을 발효시키면서 가스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음식을 먹거나 음료를 마실 때 공기가 위장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 이밖에 소화되지 않은 탄수화물이 대장에서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됐기 때문이다.

적당한 방귀는 장내 박테리아가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신호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단은 방귀를 늘릴 수 있는데 이는 건강에 좋은 신호로 간주된다.
그러나 지속적이고 심한 악취는 유당 불내증 같은 음식 알레르기나 과민성 대장증후군 같은 장질환의 징후일 수 있다.
방귀 빈도가 비정상적으로 많거나 적다면 소화 기능 이상, 장내 가스 생성 불균형의 신호일 수 있다.
방귀가 복통과 함께 발생하다면 크론병, 대장염, 장폐색 등의 심각한 질환의 징후일 수 있다.
일부러 방귀를 줄이려 노력할 필요는 없지만, 양배추, 콩류 같은 가스를 유발하는 음식을 적게 섭취하고 공기 삼킴을 줄이기 위해 음식을 천천히 먹으면 된다.
결론적으로 방귀는 건강한 소화 과정의 결과다. 적당한 방귀는 신체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신호이며, 불편한 증상이 없다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방귀와 관련된 비정상적이고 지속적인 이상 증상이 있다면 전문의와 상담해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