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뇌졸중 전조 증상 미리 알아두어야”

뇌졸중은 반드시 사전 전조 증상 있어
발음 어눌해지고 잘 안 보이고 한쪽 팔다리 마비
즉시 병원에 가는 것만이 후유증 줄여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하인리히의 법칙’(Heinrich’s law)이란 용어가 있다. 어떤 대형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는 같은 원인으로 수십 차례의 경미한 사고와 수백 번의 징후가 반드시 나타난다는 통계적 법칙이다.

 

우리 몸도 그렇다. 큰 사고가 나기 전에 우리 몸은 여러 신호를 보낸다.

 

응급 질환인 뇌졸중도 마찬가지다. 뇌졸중은 뇌로 가는 혈류가 막히거나 혈관이 터지면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병이다.

 

뇌졸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혈관이 좁아지거나 피떡(혈전)으로 막히는 ‘뇌경색’과

혈관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뇌출혈’이 그것이다. 예전에는 혈압 조절이 잘 되지 않아 뇌출혈이 많았지만 요즘은 고령화와 동맥경화로 인해 뇌경색 환자가 더 많아지고 있다. 뇌경색이 전체 뇌졸중의 약 80%를 차지한다.

 

몸이 주는 신호를 잘 알아차리고 빠르게 병원에 가는 것만이 후유증을 줄일 수 있다.

 

뇌졸중이 발생하면 뇌세포는 산소 공급을 받지 못하게 돼 즉각 여러 이상 신호를 보낸다. 대표적 증상은 ▶한쪽 얼굴과 팔, 다리가 갑자기 마비되거나 저리고 ▶한쪽 눈이 흐려지거나 물체가 두 개로 겹쳐 보이거나 ▶말이 어눌해지고 발음이 부정확해지며 ▶갑작스러운 어지럼증으로 걸을 때 균형을 잡기 어렵고 ▶경험해보지 못한 극심한 두통이 나타나는 것 등이다.

 

뇌경색은 증상 발생 후 늦어도 4.5시간 이내에 치료를 받아야만 뇌세포가 손상되지 않고 정상적인 회복이 가능하다. 치료가 늦어지면 후유증이 심각해진다.

 

‘일과성 뇌허혈증’을 경험하는 사람도 있다. 혈관이 일시적으로 막혔다가 다시 뚫리는 현상이다. 한쪽 팔다리가 마비되거나 말이 어눌해졌다가 잠시 후 정상으로 돌아오므로 별일 아닌 것으로 알고 방심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증상이 나타난 환자의 20%는 1년 이내에 뇌졸중을 경험하고, 3분의 1은 결국 뇌졸중으로 이어진다.

 

 

뇌졸중은 갑자기 발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오랜 시간 진행한 결과다. 혈관은 서서히 좁아지고 약해진다. 평소 혈관 건강을 관리하는 것만이 확실한 예방법이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정상인보다 뇌졸중 위험이 4배 이상 높다. 혈당이 높으면 혈관 벽이 손상되고 혈전이 쉽게 생겨 뇌경색 위험이 커진다.

 

폐경 이후 여성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서 혈관 보호 기능이 약해져 뇌졸중 위험이 커진다. 50세 이상이면 최소 5년에 한 번은 뇌혈관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정기적으로 건강 검진을 받으면 뇌졸중 위험을 90% 이상 줄일 수 있다. 혈압과 혈당을 잘 관리하고,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뇌졸중 예방의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