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9년부터 취업자 감소....“여성·청년·고령자 진입 촉진해야”

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2023~2033)’ 발표
일하는 여성·청년 못 늘리면 경제성장률 1.9% 달성 어려워
여성 경제활동 참여 OECD 38개 국 중 31위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지난해 말 우리나라는 전체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했고, 2033년이 되면 이 비중은 30%를 넘는다.

 

당연히 일할 사람이 줄어들고 있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2029년부터는 취업자도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033년까지 장기 경제성장 전망치인 1.9%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82만 1000명이 더 필요할 것이라는 추산이 나왔다.

 

노동 부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현재 일하지 않고 있는 여성과 청년, 고령자들을 노동시장에 진입하도록 촉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래도 노동력이 부족하다면 외국인 근로자를 적극 영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고용정보원이 17일 발표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2023~2033)’에서다.

 

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가 2023년부터 2033년까지 24만8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앞선 10년(2013~2023년)간 경제활동인구 증가 폭(309만5000명)의 8%에 그친다.

 

연령별로는 15~64세 경제활동인구가 2023년부터 2033년까지 162만7000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6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187만5000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시기별로는 경제활동인구가 2023~2028년에는 42만3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2028~2033년에는 17만5000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고용정보원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절반쯤이 경제활동에 참가하지 않고 있는 청년과 여성이 대안이라고 제안했다.

 

저출생의 영향으로 15~29세 청년이 경제활동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18.5%, 2028년 15.6%, 2033년 13.7% 등으로 갈수록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에 청년의 경제활동참가율이 49%대로 유지될 전망인데 이렇게 되면 청년 취업자 숫자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청년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여야 청년 취업자 숫자를 늘릴 수 있게 된다.

 

또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지난 2023년 55.6%였다. 이는 2028년 55.3%에 이어 2033년 54.7%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31위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인다면 여성 취업자 숫자를 늘릴 수 있는 여지가 생기게 된다.

 

산업별로는 고령화·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사회복지, 보건업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는 한편 디지털 전환 등 기술혁신의 영향으로 출판업에서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직업별로는 고령화 영향으로 돌봄, 보건 및 개인서비스직, 보건·사회복지직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고 디지털 전환 등 기술혁신의 영향으로 공학전문가, 정보통신전문가 등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온라인화·플랫폼화 등 산업구조 전환의 영향으로 소매업, 음식·주점업, 도매 및 상품중개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직업별로는 온라인화로 매장판매직의 큰 폭의 감소가 예상되며, 자동화로 장치,기계조작직의 감소, 학령 인구 감소로 교육전문가 등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고용정보원은 향후 노동력 감소에 대응해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강화하고, 인력수요 변화가 분야별로 상이한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업종·직종별 변화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