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젠더

대기업 여성 평균 연봉, 남성 70%…근속연수 격차도 여전

리더스인덱스 분석
작년 평균 여성 7천405만원, 남성 1억561만원
여성은 직급이 낮은 직원이 많아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국내 500대 대기업에서 여성 직원의 평균 근속연수는 9.2년으로 남성 11.9년의 77.3%였다. 연봉은 이보다 낮은 70.1% 수준이다.

 

22일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500대 기업의 남녀 직원 평균 연봉 및 근속연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24년 기준 여성 평균 연봉은 7천405만 원으로 남성(1억561만원)의 70.1% 수준이었다.

 

이는 대기업에서 여성 비율이 전체 직원의 26.4%에 불과하고, 그중에서도 직급이 낮은 직원이 많다는 점을 말해주는 것이다.

 

 

하지만 대기업 여성 평균 임금이 처음으로 남성의 70%를 넘은 것이다. 2023년의 68.6%에서 1.5%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업종별로는 상사, 증권, 보험, 운송, 은행 등 분야에서 불균형이 두드러졌다.

 

상사업의 경우 여성 평균 근속연수는 11.3년으로 남성(10.1년)보다 길었지만, 평균 연봉은 7천만 원으로 남성(1억1천510만 원)의 60.8%에 그쳤다.

 

증권업도 여성의 근속연수가 10.8년으로 남성(10.3년)을 앞섰지만, 연봉은 남성(1억5천200만 원)의 65%인 9천900만 원이었다.

 

은행업은 평균 근속연수가 남성 15.4년, 여성 14.5년으로 큰 차이가 없으나 연봉은 남성이 1억2천800만 원으로 여성(9천700만 원)보다 24.5% 많았다.

 

보험업은 남녀 근속연수가 각각 13년과 13.1년으로 비슷했다. 그러나 여성의 연봉은 8천800만 원으로 남성(1억3천100만 원)의 67.5%였다.


리더스인덱스는 “조직 내 지위와 보상 체계에서 성별 불균형이 여전하다”며 “급여 측면은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기회와 지위에서는 남성이 우위를 차지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