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나이가 들면 꼭두새벽에 잠이 깨는 경우가 많다. 잠자리에도 일찍 든다. 이는 습관이라기보다는 노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노화는 우리 몸속 생체시계에 영향을 끼쳐 밤낮을 구별해 신체리듬을 조절하는 능력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잠자는 시간이 짧아지고 아침잠이 없어진다. 노년이 되면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해 일찍 자고 일찍 깨는 현상이 나타난다. 멜라토닌은 잠자기 두 시간 전부터 분비량이 늘어나고, 해가 뜨면 줄어든다. 멜라토닌은 뇌 속 송과체에서 분비되는데, 나이가 들어 이 송과체가 퇴화해 멜라토닌 분비량도 줄어드는 것이다. 또한 노인이 되면 ‘서파 수면’이 현저히 떨어져 수면장애를 일으킨다.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통상 ‘논-렘’이라는 4단계를 거치는데 수면 구조가 정상인 사람은 논-렘에서 렘으로 이어지는 주기를 하룻밤에 4~6회 반복한다. 논-렘 단계는 ‘서파 수면’이라고도 하는데, 낮에 있었던 여러 가지 사건으로부터 의미를 끌어내고 정리한다. 뇌의 해마는 서파 수면을 통해 온갖 사건에 대한 기억을 정립하고 같은 맥락 속에서 파악한다. 그러나 청년기 수면의 20%를 차지하던 서파 수면은 중년에 이르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이번 주말부터 전국적으로 장마가 시작된다. 비가 자주 내리고 높은 습도가 이어지면 각종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장마는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른바 ‘장마철 우울증’이다. 남성보다 여성이 심하다. 장마철에 우울감이 오기 쉬운 것은 일조량이 감소하고 활동량이 줄어 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흐린 날씨가 지속되면 뇌에서 멜라토닌 분비량은 증가하고, 세로토닌은 분비가 줄어든다. 세로토닌은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대표적 호르몬인데 이게 감소하면 우울이나 불안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여러 정신질환과 관련을 갖는다. 멜라토닌은 일반적으로 수면에 도움을 주는 호르몬이지만, 일조량이 감소하면 더 많이 분비된다. 멜라토닌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우울감을 유발한다. 사람의 뇌는 눈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의 따라 낮과 밤을 구분하는데 비가 계속 내리면 빛의 양이 줄어든다. 이때 낮 동안에도 뇌가 밤이라고 착각해 멜라토닌을 평소보다 많이 분비해 신체리듬이 깨져 우울감과 불면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불면증은 우울한 기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속적인 불면증을 경험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우울증의
한국헬스경제신문 | <정희원 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 5월은 그동안 소홀했던 부모님의 건강을 챙기기 좋은 달이다. “낳으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라는 노래가사에 콧날이 시큰해지는 것도 잠시, 문득 돌아보니 부모님은 여기저기 안 아픈 곳이 없다. 어디서부터 부모님 건강을 챙겨야 할지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건강 체크법을 소개한다. 바로 수면이다. 수면의 질이 건강을 좌우한다 고작 잠이라니, 실망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지난 30년간 많은 연구를 통해 충분히 잠을 자는 경우 인지 기능이 높아지고 노화 속도가 늦춰져 기대수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반대로 잠을 못 자면 어떻게 될까? 수면 부족은 광범위한 신체 건강 요인에도 영향을 준다. 기대수명과 관련된 생활 습관 인자로 과학자들이 꼽는 것 중에 흔히 포함되는 것으로 적정 체중 유지, 운동 등 신체 활동, 양질의 식사, 절주, 금연, 적절한 수면 그리고 스트레스 관리가 있다. 이 7가지 인자들 중에서 특히 수면 부족은 나머지 인자들에 악영향을 준다. 다시 말해 충분한 수면 없이는 노화를 늦추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봐도 좋다. 문제는 부모님 세대의 수면이 위협받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