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임상조교수 ‘혈당 스파이크’라는 말이 유행이다. 혈당을 관리해 준다는 제품들도 많이 보인다. 하지만 이들 제품은 직접적인 치료제가 아닌 영양제여서 혈당 관리를 하기는 어렵다. 혈당 관리 열풍은 당뇨병이 급증하는 추세와도 무관하지 않다.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환자 수는 600만 명, 당뇨 전 단계는 1500만 명에 달한다. 당뇨의 원인과 종류 당뇨란 인슐린의 분비 부족이나 작용 저하로 혈당(혈액 내 포도당)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상태가 유지되는 만성 대사질환이다. 혈당은 혈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포도당을 의미하는데, 혈당 이 높으면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된다. 밥이나 면 등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음식을 먹으면 위에서 대사 과정을 거쳐 포도당이 되고, 포도당은 혈액으로 흡수된다. 핏속의 포도당을 쓰려면 인슐린 호르몬이 필요하다. 이때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포도당은 제대로 쓰이지 못하고 소변 등으로 배출된다. 인슐린의 양상에 따라 당뇨병을 나눌 수 있다. 대체로, 인슐린이 부족하면 1형 당뇨병,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2형 당뇨병이라고 한다. 최근 2형 당뇨병이 주목받고 있는데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선임기자 | 당뇨병의 거의 전부를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과 알츠하이머가 깊은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는 많이 나왔다. 일부 과학자들은 알츠하이머를 ‘제3형 당뇨병’으로 부르기도 한다. 당뇨병 발병 연령이 어릴수록 치매 발병 위험도 높아진다. 소아 당뇨병으로도 알려진 제1형 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이 거의 또는 전혀 생성되지 않는 만성 질환이고, 제2형 당뇨병은 신체가 인슐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제2형 당뇨병은 유전도 있지만 주로 비만과 운동부족으로 발병한다. 전체 당뇨병의 90%를 차지한다.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고지방 식단이 장에서 간을 거쳐 뇌로 이어지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면서 당뇨병과 알츠하이머 유사 증상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한 연구 결과 밝혀졌다. 고지방 식단이 염증을 조절하는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미국 칼리지 스테이션 소재 텍사스 A&M대 나렌드라 쿠마르 교수팀은 23~26일 샌안토니오에서 열린 미국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회 연례 회의(Discover BMB)에서 실험에서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