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혁 대표기자 | 시흥시(시장 임병택)는 올 한 해 ‘재난 안전 분야’ 선도 지자체로 입지를 단단히 굳혔다. 먼저, 시흥시는 지난 5월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2023년도 재난관리평가’에서 5회 연속 우수 기관으로 선정되면서 장관 표창과 특별교부세 8천만 원, 포상금 500만 원을 받았다. 재난관리평가는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 재난관리책임기관 330곳을 대상으로 재난관리 단계별 주요 역량을 진단하는 종합평가다. 시흥시는 전국 최초로 강력범죄 발생 시 ‘안전안내문자’를 활용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이어, 시는 경기도에서 주관하는 각종 평가의 ‘자연 재난’ 부문에서 골고루 우수한 성적을 거둬 주목받았다. ▲‘2022~2023년 겨울철 대설 종합평가’ 우수(재난관리기금 1억 원 확보) ▲‘2023년 여름철 풍수해 종합평가’ 우수(재난관리기금 1억 원 확보) ▲‘2023년 폭염 대응 종합평가’ 최우수(재난관리기금 3억 원 확보) 기관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뤄냈다. 부상으로 받은 총 5억 원의 재난관리기금은 시민의 안전을 강화하는 데 소중한 재원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올 한 해 이뤄낸 값진 성과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자연
한국헬스경제신문 배지원 기자 | 튀르키예(터키) 대지진을 계기로 지진 재난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본보 취재팀이 최근 IT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인공지능 챗지피티(ChatGPT)에게 우리 인간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방법이 뭔지를 물어봤다. 챗지피티는 어쩌면 우리가 알고 있는 내용이기도 하지만, 일목요연하게 방법을 제시했다. 특히 실천가능한 대비를 차곡차곡해야 한다는 점에서, 여느 지진 전문가와 큰 차이가 없는 해답을 내놓았다. 질문과 대답은 영어로 이뤄졌으며, 이후 한글로 번역되었다. 아래는 챗지피티가 내놓은 답변이다. 지진은 인프라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인명을 위협할 수 있는 자연 현상입니다. 지진을 예방할 수는 없지만 안전을 개선하고 지진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지진과 관련하여 우리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실용적인 방법을 논의합니다. 1. 지진 발생 대비(prepardeness) 지진 발생 시 안전을 개선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대비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비상 계획을 수립하고 지진과 관련된 잠재적인 위험 및 위험 요소를 인식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취해야 할 몇 가지 실질
한국헬스경제신문 배지원 기자 | 국내에서 지난 2016년 강도 5.8 규모의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는 가운데, 이번에는 멀리 튀르키예 대형 강진으로 사망자가 속출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지진 방재 대책에 비상이 걸렸다.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안전지대가 아닌 것이 자명해진 상황. 지진은 예측할 수는 없지만, 대비할 수는 있는 만큼, 적극적인 대책이 잇따라야 한다는 주문이다. 12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일단 행안부는 튀르키예 지진(규모 7.8)을 계기로 9일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추진실태에 대한 긴급 시설점검 계획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전달했다. 또한 최명규 재난관리정책관 주재(2.9. 17시)로 주요 관계기관과 지진방재 정책 관련 긴급 점검 회의를 가졌다. 참여 부서는 행안부를 비롯 국토부, 산업부, 농식품부, 교육부, 환경부, 원안위, 기상청, 17개 시도다. 긴급 점검 회의에서는 국내 지진방재 정책을 살펴보고, 긴급 시설점검 및 정책강화 방안 등에 대해서 논의했으며, 참석 기관은 향후 지진방재 정책 추진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 내진상황 확인하라.. 건축물의 내진반영 실태 긴급 점검 행정안전부는 먼저 공공시설물의 정확한 내진 반영 실태를 파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