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역대급 한파가 불어닥치면서 저체온증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다. 아침 기온이 영하 20도까지 떨어진 강원 지역에서는 9일 길거리에서 저체온증으로 인한 사망자까지 발생했다. 저체온증은 중심 체온(심부 체온)이 35도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인체의 열 생산이 감소되거나 열 소실이 증가될 때, 또는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발생할 때 초래된다. 갑자기 생기거나 점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체온이 정상보다 낮아지면 혈액 순환과 호흡, 신경계의 기능이 느려진다. 추운 환경에 노출되면 인체는 정상적으로 떨림과 근육 긴장, 대사량 증가 등을 통해 체온을 유지한다. 체온이 더 내려가면 떨림 증상이 멈추고 근경직이 나타나 신체 움직임이 둔해지고 말이 어눌해진다. 기억력과 판단력이 저하되며 심하면 의식을 잃기도 한다. 35도 미만의 체온 상태가 이어지면 심장·뇌·폐 등 중요 장기의 기능이 저하돼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특히 조심해야 할 대상은 고령자다. 몸은 추위에 노출되면 말초 혈관을 수축해 열 손실을 줄이고 몸을 떨게 만들어 체온을 올리려는 보상 반응을 일으킨다. 하지만 고령자의 경우 자율신경계와 혈관 방어 기전이 저하돼 보상 반응이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갈수록 기온이 떨어지면서 올해 첫 한랭질환 사망자가 나왔다. 12일 질병관리청 ‘한랭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9일 경기 포천에서 60대 남성 한 명이 한랭질환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신고됐다. 질병관리청은 겨울철 한파로 인한 건강 피해를 파악하기 위해 이달부터 전국 500여 개 응급실에서 한랭질환 감시 체계를 운영 중이다. 이번 피해로 9일까지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총 29명이 됐다. 대표적인 한랭질환은 저체온증이다. 저체온증은 임상적으로 중심체온(심부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인체의 열 생산이 감소되거나 열 소실이 증가될 때, 또는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발생할 때 초래되며, 갑자기 생기거나 점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체온이 정상보다 낮아지면 혈액 순환과 호흡, 신경계의 기능이 느려진다. 심장·폐·뇌 등 주요 장기의 기능이 저하하고 말이 어눌해지거나 기억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의식이 점점 흐려지는가 하면 팔다리에 심한 떨림 증상도 나타난다. 추운 환경에 노출되면 인체는 정상적으로 떨림과 근육 긴장, 대사량 증가 등을 통해 체온을 유지하려고 하지만 건강한 사람이라도 갑작스런 저체온증에 빠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