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혼자 사는 노인들이 늘고 있다. 이들을 진료할 때 사회적 고립 상태 여부를 잘 파악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켁의과대학 사미야 칸 박사팀은 13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내분비학회 연례 회의(ENDO 2025)에서 2003~2008년 미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의 데이터를 이용, 60~84세 3천800여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했다.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외로운 노인들은 당뇨병과 고혈당에 걸릴 위험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34% 높다는 연구 결과다. 혈당 관리가 부실해질 확률도 75%나 높았다. 칸 박사는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점점 더 중요한 건강 위험 요인이 되었다”며 “이 연구 결과는 의사들이 고령 환자를 진료할 때 사회적 고립을 건강 결정 요인으로 인식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사회적 고립이 노인의 당뇨병 위험과 혈당 조절 부실과 관련돼 중요한 요인이지만 종종 간과돼온 위험 요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칸 박사는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및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증가하는 노인 인구와 노인층 사회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사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2050년에는 혼자 사는 고령 가구 넷 중 하나는 알츠하이머 등 인지능력 취약계층일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5일 발간한 조세재정브리프 ‘미시모의실험을 활용한 고령층 알츠하이머병 환자 인구 분포 예측’ 보고서에서다. 보고서는 2050년 65세 이상 1인 고령가구 중 치매 의심층이 119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통계청 장래 가구 추계상 1인 고령가구(465만)의 약 25% 수준이다. 보고서는 치매 의심 1인 고령가구가 전체의 21.8∼27.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지능력이 정상 범주는 약 41.8∼47.7%, 경도 인지장애는 29.4∼31.8%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1인 고령가구 중 경제 활동 참여 규모는 꾸준히 상승해 2020년 21만 9천명에서 2050년 63만 4천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중 치매가 의심되는 고령층은 8만 명, 경도인지장애 고령층은 17만 명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인지능력 관련 변수들에는 주관적 건강 상태, 만성질환, 흡연, 음주 등이 포함됐다. 보고서는 “2050년까지 인지능력 취약계층 고령가구의 증가가 예상된다”라며 “인구구조 고령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