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국내 9개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 90명이 정부의 문화예술 정책을 발굴하고 자문하는 ‘문화예술정책자문위원회’가 10일 닻을 올렸다. 9개 분야는 문학, 연극·뮤지컬, 클래식 음악·국악·무용, 미술, 대중음악, 영화·영상, 게임, 웹툰·애니메이션, 출판 등이다. 위원회는 최휘영 문체부 장관 직속으로 운영한다. 지난달 1일 가수 겸 프로듀서인 박진영을 위원장으로 꾸려진 대중문화교류위원회와 달리, 문화예술정책자문위원회는 문화예술 생태계를 구성하는 창작자, 학계, 업계, 평론가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한다. 위원장은 은희경 작가가 맡는다. 신춘수 한국뮤지컬제작사협회 회장, 뮤지컬 배우 최정원, 뮤지컬 음악감독 김문정, 무용수 최호종, 국립창극단 창악부 단원 김준수, 김주원 대한민국발레축제추진단 대표 겸 예술감독, 이성훈 한국화랑협회 회장, 신대철 바른음원협동조합 이사장, 작곡가 윤일상, 연주자 함춘호, 김영만 한국e스포츠협회 회장, 신일숙 한국만화가협회 회장, 정종민 CJ CGV 대표, 허정도 교보문고 대표이사, 얀 디륵스 가천대 유럽어문학과 부교수, 영화배우 이기영·이원종·김수로 등이 위원에 위촉됐다. 임기는 1년이고, 연임이 가능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25일부터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 전국 영화관에서 관람료를 6000원 할인받을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영화관 입장권 6000원 할인권 총 450만 장을 선착순으로 배포한다. 할인권은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의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다만, 한 군데에서 1인당 2매씩만 받을 수 있다. 선착순으로 발급하기 때문에 지역별 발급 상황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다. 할인권을 발급할 수 없는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은 영화관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할인을 제공한다. 발급받은 할인권은 9월 2일까지 요일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이번 할인은 ‘문화가 있는 날’ 할인, 장애인 우대 할인, 경로 우대 할인, 청소년 할인, 조조할인 등과 중복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매달 마지막 수요일 영화를 7천 원에 관람할 수 있는 ‘문화가 있는 날’에 이번 할인까지 적용하면 1천 원으로 영화를 볼 수 있다. 제휴카드 청구할인도 카드사별 최소 결제금액 이상의 조건만 갖추면 중복으로 적용되지만, 통신사 멤버십 할인은 중복해 사용할 수 없다.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의정갈등이 8개월째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의료개혁 홍보에 120억 원에 달하는 홍보광고비를 쏟아부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복지부가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의료개혁 홍보 및 광고비로 예산 78억 원을 집행한 데 이어 문체부도 예산 42억 원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올해 3월 의료개혁 홍보에 쓰고자 예산 90억 원을 예비비로 편성했다. 매체별로 보면 지상파 등 방송매체 25억 5312만 원, 유튜브 등 인터넷매체 21억 7227만원, 지하철 등 옥외매체 14억 4419만원, 신문 등 인쇄매체 13억 8300만원, 제작비 등 기타매체 2억 2116만원 등이었다. 남 의원은 복지부의 전체 광고 예산의 절반 가까이가 의료개혁을 홍보하는 데 쓰였다고비판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제출한 보건복지부 정부 광고 집행 내역에 따르면 복지부가 이 기간 광고홍보에 집행한 예산은 총 173억 8412만 원인데 의료개혁 홍보에 쓰인 예산이 전체의 45%를 차지했다. 문체부가 의료개혁을 홍보하는 데 쓴 예산은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