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 이후장 경상대국립대 수의과대학 교수 개와 고양이의 발바닥 구조 개의 발바닥에는 털이 없고, 지방 조직과 두꺼운 각질층으로 구성된 볼록살이 있으며, 표면의 딱딱한 정도와 거칠기는 야외 활동량에 따라 다르다. 개 발바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걷거나 뛸 때 다리의 뼈나 인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줄이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데 있다. 개의 발바닥 볼록살은 자연에 존재하는 구조 중 가장 견고한 것으로 평가받는 정육각형의 벌집 형태로 되어 있어서, 땅바닥에 발을 디딜 때 받는 충격을 무려 35%나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한다. 타고난 수영 선수로 알려진 골든리트리버나 뉴펀들랜드 같은 견종은 발가락과 발가락사이에 얇은 막이 있는데, 이것이 마치 물갈퀴 역할을 하여 수영을 잘할 수 있다. 고양이의 발바닥 볼록살은 지방과 탄성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흔히 젤리라고 부르는데, 이는 고양이가 걷거나 뛸 때 충격을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발 볼록살은 발에 있는 털과 함께 미끄럼을 방지해 주기도 한다. 고양이가 높은 곳에서 뛰어내려도 충격을 받지 않는 것은 단지 발바닥의 볼록살 때문만은 아니다. 고양이는 유연한 관절과 민첩한 자세 조절 능력 덕분에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사람들은 샤워나 목욕을 하면서 잘 씻지 않는 신체 부위가 있다. 의외의 곳이다. 배꼽, 발, 귀 뒤쪽이다. 이곳은 부패나 감염이 되기 쉽고 냄새도 풍길 수 있다. ▷배꼽은 태어났을 때 탯줄을 제거하면서 남은 일종의 흔적기관이다. 별다른 기능은 없지만, 제대로 씻지 않고 오래 방치하면 때가 생기고 냄새가 나며 감염이나 분비물이 발생할 수 있다. 주변 피부와 달리 조직이 얇은데다 따뜻하고 습해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기 좋은 조건이다. 하지만 배꼽에 생긴 세균이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줄 가능성은 낮다. 배꼽에 세균이 계속 쌓이다 보면 악취를 풍길 수밖에 없다. 배꼽의 안쪽에 있는 때는 샤워할 때 자연스럽게 떨어져나오기 어렵다. 손에 세정제를 묻혀 너무 깊숙하게는 닦지 말고 거품을 일으키며 살살 문질러주는 정도로 닦으면 효과가 있다. 악취가 심하거나 배꼽이 깊게 들어간 경우에는 솜이나 면봉 등에 물이나 알콜을 묻혀 살살 닦아주면 좋다. 배꼽에 생긴 때를 무리하게 억지로 떼낼 필요는 없다. 특히 손가락, 손톱이나 날카로운 물건, 오염 가능성이 높은 도구를 사용해선 다칠 수 있다. ▷발바닥을 깨끗이 씻는 것도 중요하다. 의외로 발은 곰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