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 이야기] ④ 몸을 보해주는 찹쌀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찹쌀은 일반적인 쌀(멥)과 대비되는 쌀로 찰기가 많고 끈기가 있는 쌀의 한 종류다.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된다, 태국과 라오스에서는 주식으로 삼고 있다. 찹쌀의 독특한 찰기와 끈기는 전분 구성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멥쌀의 전분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찹쌀은 거의 아밀로펙틴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가열 시 쫀득한 질감을 띠게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찹쌀은 주로 다양한 전통 음식의 재료로 활용된다. 약밥이나 오곡밥, 찹쌀떡, 인절미, 경단, 화전, 식혜, 술, 고추장, 미역국(새알심), 닭죽 등에 쓰인다. 찹쌀은 의외로 영양분이 풍부하다. 비타민 E, 비타민 B군(B1, B2, 나이아신), 칼슘, 철분, 칼륨, 마그네슘 등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 찹쌀의 효능 중 가장 큰 것은 멥쌀보다 소화가 잘 되고 위장에 부담을 덜 준다는 것이다. 소화 기능이 약하거나 위가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 한의학에서는 비위(脾胃)를 보강하는 식품으로 분류되어, 위가 약하거나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에게 좋다. 찹쌀에 풍부한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성분은 체내 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