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방송인 김수용이 촬영 중 의식을 잃고 쓰러져 치료를 받았다. 그런데 그의 귓불에 전조 증상인 ‘프랭크 징후’(Frank‘s Sign, earlobe crease)가 있다는 말들이 나오고 있다
김수용의 귓불에는 대각선 주름이 선명하게 있다. 한쪽 또는 양쪽 귓불에 생기는 45도 각도의 사선 주름을 프랭크 징후라고 하는데 이것은 노화현상이 아니라 심혈관 질환과 관련 있다는 연구는 오래전부터 있었다. 현재는 심혈관 질환, 특히 관상동맥 질환(CAD) 의 잠재적 지표로 여겨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프랭크 징후는 1973년 미국의 내과 의사 샌더 프랭크(Sanders T. Frank) 박사가 처음으로 보고한 현상이다. 이 주름은 귓불의 피부를 가로질러 외이도 입구 쪽으로 이어지는 것이 특징인데, 일반적으로 주름의 깊이가 귓불 전체 너비의 최소 3분의 1 이상인 경우를 유의미한 징후로 간주한다.
여러 연구에서 프랭크 징후는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말초혈관질환, 뇌졸중 위험 증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연구에서 주름이 길고 깊을수록, 양쪽 귓불에 모두 존재할수록, 그리고 잔주름이 동반될수록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근거는 이렇다. 귓불은 피부 아래에 미세 혈관이 풍부하지만, 말초 순환이 취약한 조직이어서 동맥경화가 진행될 때 심장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뿐만 아니라 귓불의 미세 혈관에도 혈액순환 장애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귓불 조직의 탄력성이 감소하고, 콜라겐 및 엘라스틴 섬유가 손상되어 눈에 띄는 대각선 주름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주름 자체가 직접적으로 심장 질환을 일으키는 인과관계는 증명되지 않았다.
흡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심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와 프랭크 징후의 발생이 상당한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많다.
다만 프랭크 징후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심혈관 질환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단지 심장 건강에 대한 추가적인 검진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징후(sign)‘일 뿐이다.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리도 하다. 하지만 60세 이하 젊은 연령에서 발견되면 병원에서 정밀진단을 받아보는 걸 권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