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 정진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부교수 난청의 원인은 무엇일까 난청은 발병 시기에 따라 선천성 난청과 후천성 난청으로 나뉜다. 태어날 때부터 청력에 이상이 있는 선천성 난청은 신생아 1000명당 2~3명에서 발병할 정도로 생각보다 흔한 질환이다. 그런데 태어난 후 얻게 되는 후천성 난청의 경우는 이보다 10배 이상의 발병률을 보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보고에 의하면 전 세계에 15억 명의 난청 환자가 있고, 이 중 4억 3천 명 정도는 장애성 난청을 경험하고 있다. 그만큼 난청환자는 흔하지만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해서 한마디로 난청의 원인을 단정해서 말할 수 없다. 하지만 2009년 사람의 전장 유전체(한 생물체가 가진 모든 유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 기술이 실제 치료에 적용되면서 지난 15년간 난청에 대한 유전적 원인을 상당히 많이 규명하였다. 일반적으로 선천성 난청의 경우 약 50~60%가 유전적 원인을 가지고 있고, 후천성 난청인 경우에도 약 40%에서 유전적 원인이 확인되고 있다. 유전적 원인은 난청 발병과 진행 위험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큰 소음에 노출되는 환경이나 노화 같은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세계보건기구(WHO)의 ‘2021 세계청각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5명 중 1명이 난청을 경험한다. 난청은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런데 정작 본인이 난청을 겪고 있는지 인지하지 못할 때가 많다. 난청은 갑자기 발생하기보다는 서서히 안 들리기 때문에 초기 대처가 중요하다. 나이가 들면서 귀가 잘 안 들리기 시작하면 나이 탓이라며 무시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이런 현상을 가볍게 여기면 안 된다. 소리가 안 들리면 대화가 불편해지고 사람을 피하게 되며 세상과의 연결이 끊어지기 시작한다. 무엇보다 청력은 삶의 질 전반은 물론이고, 뇌의 인지 기능에도 영향을 미쳐 치매 발생과도 관련이 있다. 난청은 가족력 같은 유전적 요인, 소음 같은 환경적 요인, 흡연이나 과음 같은 생활습관,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이 유발할 수 있다. 과도한 스트레스도 돌발성 난청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노인성 난청은 보통 60대 이후부터 서서히 진행된다. 뚜렷한 통증이나 자각 증상이 없어 방치하기 쉽다. 초기에는 말소리가 웅얼거리는 듯하고, 높은 음역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다. 병원을 찾았을 땐 이미 청력 손상이 상당히 진행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