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허와 실] ⑨음식물 쓰레기 냉동실 보관…괜찮을까?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음식물쓰레기 봉투는 편의점에서 돈 주고 사야 한다. 그래서 다 차지 않은 음식물쓰레기 봉투를 그날그날 버리기에는 아깝다. 특히 혼자 사는 가구에서는 음식물쓰레기가 많이 나오지 않는다. 여름철에는 음식물쓰레기가 빨리 부패해 냄새를 풍긴다. 그래서 고육지책으로 냉장고 냉동실 안에 봉투가 찰 때까지 보관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영하 20도 이하니까 세균이 다 얼어죽을 거라고 생각한다. 과연 냉동실에 음식물쓰레기를 보관해도 아무 문제가 없을까. 온라인에 보면 한 번도 문제가 된 적은 없었다고 주장하는 글도 적지 않다. 전문적으로 따져 보자. 음식물쓰레기는 기본적으로 세균 덩어리다. 세균이 번성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수분과 유기물이 많기 때문이다. 음식물쓰레기의 수분 함량은 80~85%, 유기물 함량은 70~75% 정도다. 그래서 평소 음식물쓰레기 봉투 안에는 식중독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등이 살고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봉투에 넣어 밀봉해서 냉동실에 보관하면 이런 세균은 거의 대부분 죽는다. 하지만 안심하면 안 된다. 냉동실에서 얼어죽지 않는 세균이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게 리스테리아균인데 자연계에 널리 분포해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