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기자 | 신체 부위 중 가장 피로감을 많이 느끼는 부위는 어디일까. 눈이다. 특히 스마트폰, 컴퓨터 등 전자기기를 많이 사용하면서 우리 눈은 혹사를 당해 가장 먼저 피로가 누적될 수밖에 없다. 한의학에서는 눈을 간의 건강 상태를 드러내는 창이라고도 부른다. 피로가 많이 쌓이거나 간이 나빠지면 눈부터 침침해진다. 일상생활 중에 눈에 쌓인 피로를 푸는 방법은 어렵지 않다 1. 눈을 감아라 15분 정도 눈을 감고 있는 것만으로도 눈의 피로를 효과적으로 풀 수 있다. 눈을 감은 채 깊은 숨을 들이쉬고 내쉬면서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이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을 사용할 때는 20분에 한 번씩은 20초 정도 눈을 감고 쉬는 것이 좋다. 사무실 업무를 할 때도 1시간에 적어도 5분 정도 눈에 휴식을 주어야 눈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된다. 2. 눈동자를 굴려라 근육을 풀어주기 위해 스트레칭을 하듯이 눈 또한 안구 움직임을 통해 피로를 풀 수 있다. 위아래 또는 먼 곳을 바라보는 눈 운동이 좋다. 눈을 좌우, 상하로 굴려서 눈 근육을 자극하는 것도 방법이다. 눈을 의도적으로 10~20번 정도 깜빡이면서 눈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도 좋다. 시선을 8
한국헬스경제신문 <강현구 연세대학교 안과학교실 교수> | 무언가를 응시할 때, 특정 모양의 물체가 눈앞에 떠다니는 현상을 겪을 수 있다. 고개를 돌리거나 눈동자를 움직이면 물 체의 위치도 함께 변하며, 실오라기나 점 및 다양한 형태의 부유물은 눈앞에서 나타났다 사라지곤 하지만 완전히 없어지진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증상을 ‘비문증(飛蚊症)’이라고 한다. 한자말 그대로 마치 모기가 눈앞에서 날아다니는 것은 현상을 보인다. 비문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안구의 구조를 이해하고 부유물이 주로 존재하는 공간인 유리체를 알아야 한다. 유리체는 무엇일까? 우리가 흔히들 알고 있는 카메라의 구조를 안구에 비유하면 유리체를 이해하기 수월하다. 카메라 구성요소 중 렌즈에 해당하는 안구 부위를 수정체로, 필름의 역할을 하는 안구 부위를 망막으로 비유할 수 있다. 수정체는 안구의 앞쪽에 위치하고, 수많은 신경조직을 포함한 망막은 안구 뒤쪽에 벽지처럼 붙어 있다. 그리고 수정체와 망막 사이 공간에 유리체가 존재하며, 젤과 같은 물질인 유리체가 그 공간을 채우고 있다. 유리체는 98~99%가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콜라겐과 단백질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