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감별법 미리 알아두자...‘이웃손발시선’ 기억하세요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기자 | 매년 10월 29일은 세계뇌졸중기구(WSO)가 정한 ‘세계 뇌졸중의 날’이다. 뇌졸중의 위험성과 예방·치료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제정됐다. 국내 사망 원인 4위인 뇌졸중은 골든타임 내 치료를 받아 생존하더라도 반신 마비, 언어 장애, 시야 장애, 심각한 경우 의식 장애 등 되돌리기 힘든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어 예방이 중요하다. 뇌졸중은 국내에서 연간 10만 명 이상 환자가 발생한다. 약 5분에 한 명꼴로 환자가 생기는 셈이다. 곧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 환자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뇌졸중은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뇌혈관이 막혀 뇌 일부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뇌혈관이 파열돼 뇌 속에 혈액이 고이면서 뇌가 손상되면 ‘뇌출혈’이다. 뇌경색이 전체 뇌졸중의 80%를 차지한다. 뇌졸중은 증상이 악화할 때까지 별다른 신호를 보이지 않아 한 가지라도 이상하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대한뇌졸중학회가 개발한 뇌졸중을 조기에 감별하는 식별법인 ‘이웃손발시선’ 을 숙지하는 게 도움이 된다. ▲‘이’~ 하고 '웃'을 수 있는지 ▲두 ‘손’을 앞으로 뻗을 수 있는지 ▲한쪽 팔다리에 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