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방귀는 소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가 항문을 통해 배출되는 자연스러운 신체 현상이다. 소화기관은 음식을 소화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동안 다양한 가스를 만든다. 대부분 가스는 무해하며, 일부는 우리가 섭취한 음식과 소화 과정의 부산물이다. 방귀의 주요 성분은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수소, 메탄 등이다. 이들 가스는 대개 무취이지만, 황화수소와 같은 성분이 소량 포함되면 특유의 냄새가 날 수 있다. 이러한 냄새는 주로 단백질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하루 평균 13~25회 정도 방귀를 뀌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잦은 방귀가 건강의 적신호일 수 있다는 우려는 잘못된 것이다. 특히 위암의 전조증상이 아니냐는 말도 있는데 그렇지 않다. 물론 소화기관의 기능이 떨어졌을 때 트림과 방귀가 평소보다 더 많이 나오는 것은 맞지만 별다른 전조증상이 없는 위암으로까지 연결하는 것은 무리다. 방귀가 자주 나오는 이유 중 하나는 공기를 많이 삼키는 것입니다. 음식을 급하게 먹거나, 껌을 씹거나, 탄산음료를 마실 때 공기가 함께 들어가게 된다. 이 공기는 소화기관을 통해 이동하며 방귀로 배출된다. 또 다른 이
한국헬스경제신문 | <김성철 약학박사, 대한약사회 학술위원> 맛있는 음식을 먹는 즐거움은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과식을 해서 탈이 나기도 한다. 식생활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나타나는 모든 증상을 소화 불량이라고 한다. 이럴 때 쉽게 찾는 것이 소화제이다. 소화제는 소화불량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약물로 여러 유형이 있으며 주로 복합제로 사용된다. 소화불량은 무엇인가 소화불량은 위·십이지장 등 주로 상복부에서 발생하는 모든 소화 장애 증상을 말한다. 이런 증상에는식후 포만감(식사 후에 위 내에 음식이 계속 남아 있는 것 같은 불편한 증상)이나 조기 만복감(식사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곧 배가 부르고 더 이상 식사를 할 수 없을 것 같은 느낌) 외에도 속 쓰림·메스꺼움·상복부팽만감·상복부 통증 등이 포함된다. 소화불량은 크게 기질성 소화불량과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구분한다. 기질성 소화불량은 위암·십이지장 궤양과 같이 근본적인 원인에 의한 것을 말하고, 기능성 소화불량은 내시경이나 초음파 검사에서 는 이상이 없는데, 소화 장애 증상이 나타나거나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위통·속 쓰림·식후 포만감·조기 포만감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이 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