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 최경화 차의과대학 분당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요실금이란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변이 나오는 증상으로, 남성보다는 주로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전 생애에 걸쳐 여성의 30~40%에서 나타나게 되는 흔한 질환이다. 여성은 출산이나 자궁적출 수술 등으로 골반하부 근육이 약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외에 도 방광염이나, 신경인성 방광, 신경정신과 약물 복용 등이 원인이 되어 요실금이 발생할 수 있다 요실금의 종류와 원인 •절박성 요실금 방광의 기능인 저장과 배출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갑자기 소변이 급해지는 요절박과 절박성 요실금을 유발할 수 있다. 소변이 자주 마 렵거나 마려운 순간 잘 참지 못한다. 물소리에도 민감하게 반응해 소변이 급해져 속옷에 소변을 실수하는 것이 주증상이며, 나이가 들수 록 발생 비율이 높아진다. 방광근의 이상 수축이나 신경 손상, 방광염 또는 과민성 방광 등에 의해서도 방광이 자극되어 나타날 수 있다. •복압성 요실금 재채기, 웃음, 줄넘기, 달리기와 같이 배에 힘이 들어갈 때 소변이 흐르는 경우로 주로 여성에서 많이 발생한다. 가장 큰 원인은 출산 시 손상을 받았던 방광 주변 근육 및 골반 하부 근육의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요실금은 남녀노소 모두에서 올 수 있지만, 중년 이후 여성, 신경 질환자, 노인에서 많이 나타난다. 특히 성인 여성의 경우 갱년기가 시작되는 45~50세 전후로 크게 높아져 보통 성인 여성의 35~40%는 요실금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실금은 겨울철에 증상이 더 심해진다. 날씨가 추워지면 방광의 자극이 심해지고 땀과 호흡으로 빠져나가는 수분량이 줄어 요실금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요실금은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한다. 외출하기도 꺼려진다. 외출했어도 신경이 쓰이며 자주 화장실을 찾게 된다. 요실금은 질병으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그런데 수술이 꼭 필요한 환자는 일부에 불과하고, 수술 외의 효과적 치료법이 있어서 두려워할 게 아니다. 요실금은 크게 복압성, 절박성, 일류성 등으로 구분하는데, 복압성 요실금은 기침을 하거나 앉거나 누웠다가 일어날 때 복압이 상승해 소변이 새는 증상이다. 절박성 요실금은 소변을 참지 못해 새는 증상이고 일류성 요실금은 소변을 제대로 보지 못해 잔뇨가 쌓이면서 소변이 넘치는 것이다. 여성에게 흔한 복압성 요실금은 요도와 방광을 지지하는 골반 근육이 약해져서 생긴다. 임신과 출산, 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