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의료

겨울철에 더 심해지는 요실금, 수술 없이 치료 가능

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요실금은 남녀노소 모두에서 올 수 있지만, 중년 이후 여성, 신경 질환자, 노인에서 많이 나타난다. 특히 성인 여성의 경우 갱년기가 시작되는 45~50세 전후로 크게 높아져 보통 성인 여성의 35~40%는 요실금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실금은 겨울철에 증상이 더 심해진다. 날씨가 추워지면 방광의 자극이 심해지고 땀과 호흡으로 빠져나가는 수분량이 줄어 요실금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요실금은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한다. 외출하기도 꺼려진다. 외출했어도 신경이 쓰이며 자주 화장실을 찾게 된다.

 

요실금은 질병으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그런데 수술이 꼭 필요한 환자는 일부에 불과하고, 수술 외의 효과적 치료법이 있어서 두려워할 게 아니다.

 

요실금은 크게 복압성, 절박성, 일류성 등으로 구분하는데, 복압성 요실금은 기침을 하거나 앉거나 누웠다가 일어날 때 복압이 상승해 소변이 새는 증상이다. 절박성 요실금은 소변을 참지 못해 새는 증상이고 일류성 요실금은 소변을 제대로 보지 못해 잔뇨가 쌓이면서 소변이 넘치는 것이다.

 

여성에게 흔한 복압성 요실금은 요도와 방광을 지지하는 골반 근육이 약해져서 생긴다. 임신과 출산, 폐경, 자궁적출, 노화 등으로 요도의 닫히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요도의 길이가 짧아 요실금이 더 잘 생긴다.

 

복압성 요실금은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골반근육운동 등 물리 치료를 통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수술이 필요하더라도 간단한 방법으로 흉터가 남지 않게 하는 치료가 가능하다 요도 기능을 강화시키는 슬링(sling) 수술을 하기도 하는데, 이는 요도 밑에 테이프를 걸어 주는 방식이다.

 

절박성 요실금은 약물치료와 행동치료를 병행해 치료한다. 배뇨 교육과 바이오피드백, 자기장 치료, 케겔운동을 하면 방광의 크기가 늘어나고 강화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항콜린제라는 약물로 불필요한 방광의 수축을 억제하고 방광 용적을 늘리거나 베타작용제 등으로 중추신경계를 조절해 증상을 줄일 수도 있다. 약물이 효과가 없다면 방광 벽에 보톡스를 주사해 근육을 부분적으로 마비시키는 치료를 받는다.

 

수술 부담 때문에 요실금 치료를 미루거나 참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요실금은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예후가 좋은 질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