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으로 되돌릴 가능성을 시사하며 의대생 복귀 설득에 나서자 환자·시민단체가 강력히 반발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한국환자단체연합회로 구성된 국민중심 의료개혁 연대회의는 26일 성명을 내고 “정부와 의사들의 밀실 합의를 통한 의대 정원 동결은 있을 수 없다”며 “내년도 정원은 수급추계위원회 법에 토대한 논의기구에서 사회적 합의를 거친 결과로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최근 의대 학장단을 만난 자리에서 의대생들이 3월 신학기에 복귀하고 대학들이 요구한다면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2천명 증원 이전 수준인 3천58명으로 돌릴 여지가 있다는 뜻을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대회의는 “의사 인력 확충을 위해 1년 넘게 환자와 국민은 고통을 참았고 국회에서도 상당한 논의와 검토가 이뤄졌다. 부총리가 의사단체 달래기용으로 정원 동결을 운운하는 것은 참고 기다린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다”고 비판했다. 연대회의는 “국회는 즉시 의대 증원 밀실 협상을 중단시키고, 즉시 수급추계위 법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올해 고3이 치르는 2025학년도 대학입시 의대 모집인원이 지난해보다 1500명 가량 늘어난 4567명으로 확정됐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4일 전국 39개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포함한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 변경사항을 원안대로 승인했다. 이로써 1998년 이후 27년 만에 의대 정원이 늘어났다. 시·도교육감, 대학 총장, 학부모, 법률가 등으로 구성된 대교협 심의기구는 만장일치로 증원에 찬성했다. 오덕성 대입전형위 위원장(우송대 총장)은 “교육부에서 결정한 정원 조정계획을 대학들이 어떻게 입학 사정하는지 입학전형 방법 등을 논의했다. 지역인재전형 등을 중심으로 각 대학에서 올라 온 안건을 전원 찬성하고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의대 증원에 줄기차게 반대해온 대한의사협회는 입장문을 내고 “대한민국 의료시스템 붕괴는 돌이킬 수 없는 현실이 됐다”고 주장했다. 앞서 정부는 3058명인 의과대학 정원을 5058명으로 2000명 늘리기로 하고, 전국 40개 의대 가운데 서울지역을 제외한 경인권과 비수도권 32개 의대에 이를 배분했다. 하지만 의료계의 거센 반발과 의대 교육의 질 저하 우려가 일자 정부는 각 대학이 2025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