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 오주영 연세대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강남세브란스병원 교수 가상현실이 정신건강 치료에 어떻게 사용될까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술이 발전하면서 최근 정신건강의학과 영역에서도 가상현실 치료법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고 실제로 이미 여러 질환 치료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불안장애 치료에서 가상현실 환경은 불안 상황을 실제 상황인 것처럼 재현한다. 많은 사람들 앞에서 발표해야 하는 상황, 터널, 지하철, 비행기 등 불안이 유발되는 특정 상황을 회피하거나 두려워하는 증상이 있다면 그 상황에 반복적, 점진적으로 노출시켜 해당 두려움에 대한 내성을 키울 수 있다. 국내에서는 사회불안장애와 공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가상현실 치료가 신의료기술로 공식 인정을 받기도 하였다. 다양한 정신건강 관련 질환에서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하여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앞서 언급한 사회불안장애, 공황장애와 같은 불안장애 영역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다. 불안을 유발하는 가상 환경에서의 인지행동치료, 노출 치료가 증상 호전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불안장애 외에도 우울증, 알코올 사용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인지 기능 장애 등의
한국헬스경제신문 | <김우정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부교수> 약 10년 전, 한 신문사에서 우리나라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가장 피하고 싶은 병은 무엇인가?” 설문 조사를 한 적이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인 암(491명) 다음으로 337명이 치매를 꼽았다. 그런데 이를 60대 이상 응답자로 한정하면, 가장 피하고 싶은 병은 암(응답자의 38.8%)이 아닌 치매(응답자의 38.9%)로 역전되어 연령이 높을수록 치매에 대한 두려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치매와 경도인지저하의 개념 치매는 하나의 병명이 아니라, 70여 가지 원인에 의해 생기는 후천적 인지 기능 저하를 통틀어서 부르는 포괄적 용어이다. 치매의 대표적 원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는 알츠하이머병은 뇌에 베타-아밀로이드 등의 독성 단백질이 쌓여서 뇌가 상하게 되는데, 특히 그 정도가 심해 ‘독립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수준으로 인지 저하가 발생하여 그 상태가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는 것이 치매이다. 인지 기능이 어느 정도는 저하되어 있지만 그 정도가 심각하지 않아서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 치지 않을 때, 이를 ‘경도인지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