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근대올림픽을 창설한 쿠베르탱 남작은 “여성이 스포츠에 참여하는 것은 비윤리적이며, 재미있지도 않고, 여성의 건강과 정숙함을 해칠 수 있다”며 “올림픽에서 여성의 역할은 우승자에게 월계관을 씌어주는 일”이라고 말했다. 모든 종목에 여성 선수가 출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규정은 1991년에 비로소 생겼다. 이번 파리 올림픽에서 일어난 중요한 변화는 ‘성평등 올림픽’이다. 1만 500명 선수의 남녀 비율은 정확히 50 대 50으로 정해져 첫 남녀 동수 올림픽이 됐다. 다양한 인종의 여성 선수들이 그라운드에서 경기를 펼치는 모습이 전 세계에 생중계되고 있다. 그런데 유독 여자 선수에 대해서는 경기 장면 외에도 얼굴과 몸매, 유니폼 등 특정 부위를 클로즈업하는 촬영과 편집 관습이 성차별적 관점에서 자주 지적돼 왔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주관 방송사인 올림픽방송서비스(OBS)가 파리 올림픽 촬영진에게 여성 선수를 남성 선수와 같은 방식으로 촬영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여성 선수의 신체 부위를 부각하는 성차별적 시선이 중계에 담기지 않게 주의하라는 것이다. OBS는 중계권을 산 전 세계 방송사에 올림픽 표준 방송을 제공한다. 야니스 엑사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스포츠와 성 소수자 이슈는 밀접하다. 국제 스포츠 무대에 출전하는 각국 국가대표 중에는 성전환자나 트랜스젠더 등 성 소수자가 적지 않다. 체육선수들의 LGBTQ(성 소수자를 통칭하는 말) 권리를 옹호하는 아웃스포츠라는 전문매체가 있다. 이 매체는 매 올림픽마다 성 소수자가 얼마나 많이 참가했는지를 조사해 보도한다. 물론 공개적으로 커밍아웃을 한 선수들이다. 이번 파리 올림픽에 출전한 선수 중 성 소수자는 얼마나 될까. 이 매체 보도에 따르면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논바이너리 등 성 소수자라고 밝힌 선수는 191명이다. 이 매체는 올림픽 사상 가장 많은 숫자라고 보도했다. 3년 전의 도쿄 올림픽에 참가한 성 소수자 선수는 최소 182명이다. 도쿄 올림픽은 ‘무지개 올림픽’으로 불렸다. 그 전의 리우 올림픽은 56명, 2012 런던 올림픽은 26명이었다. 아웃스포츠가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20 시드니 올림픽에서 성 소수자라고 공개적으로 밝힌 선수는 단 5명이었다. 국가별로 보면 북미와 남미, 서유럽, 호주, 뉴질랜드 등 출신 성 소수자 선수가 많았다. 미국이 31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브라질 30명, 호주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올림픽 출전 선수들은 대회조직위원회로부터 콘돔을 지급받는다. 비밀이 아니다. 이른바 ‘올림픽 공식 콘돔’이다. 개방성과 다양성을 내세운 이번 2024 파리 올림픽 선수촌에도 ‘다양하고 충분한’ 피임 도구가 선수들에게 지급됐다. 캐나다 요트 대표팀 사라 더글러스가 최근 자신의 틱톡 채널에 올린 “올림픽 선수들은 자신들 방에서 어떤 걸 받을까”라는 영상이 화제가 됐다. 올림픽 선수 지원조직 애슬리트365가 마련한 물품이 봉투가 놓여있었다. 그 안에는 파워에이드가 적힌 물병, 삼성 ‘갤럭시Z플립 6 올림픽 에디션’, 환영 편지, 안내서, 세면도구 등이 들어 있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올림픽 공식 콘돔’이다. 파리 올림픽 마스코트 ‘프리주’가 그려진 콘돔 케이스에는 ‘사랑의 무대에서도 정정당당한 플레이를’ ‘동의를 구하라’ ‘금메달리스트가 아니어도 착용할 수 있다’ 등의 해학적 문구가 적혀있었다. 이번 파리 올림픽에는 얼마나 많은 콘돔이 선수들에게 지급됐을까. 공식적으로 약 30만 개다. 총 1만714명 선수에게 각각 20개가 돌아간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올림픽 선수촌에는 남성용 콘돔뿐만 아니라 여성용 콘돔과 덴탈댐(구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