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우리나라가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 뇌졸중과 함께 3대 노인성 질환으로 꼽히는 ‘파킨슨병’의 발병이 급하게 증가하고 있다. 대한파킨슨병협회에 따르면 국내 파킨슨병 유병자 수는 현재 약 15만 명에 달하며, 매년 5,000명 이상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16년부터 5년 새 유병률이 15% 증가했다. 파킨슨병은 뇌 속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점차 감소하면서 여러 가지 운동 장애를 유발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이다.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으나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주로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에 많이 발병되며,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흔하다.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은 동작이 느려지고, 손과 발이 떨리고, 근육이 강직되고, 자세가 불안정하고, 잘 걷지 못하는 것 등이다. 이러한 운동 증상뿐만 아니라 우울증, 불안감, 인지기능 저하, 후각 소실 등을 겪는다. 문제는 이 병이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발병 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운동 증상이 발현되기 이전에 비운동성 증상이 먼저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전 세계에서 1000만 명이 이상이 앓고 있는 파킨슨병은 알츠하이머와 함께 나이를 먹어가며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뇌간의 중앙에 있는 뇌흑질의 도파민계 신경이 파괴돼 움직임에 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중뇌 흑질 부위에 알파-시누클레인이라는 단백질이 축적돼 신경세포가 죽거나 손상되면서 도파민 생성 능력을 잃는 것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60세 이상에서 1%의 유병률을 보이며 나이가 들수록 발병률이 증가한다. 50세 이후에 새로 불안증 진단을 받는 사람은 이후 파킨슨병에 걸릴 위험이 불안증이 없는 사람보다 두 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후안 바조-아바레즈 교수팀은 ‘영국 일반의료 저널’(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에 기고한 연구논문에서 2008~2018년 50세 이후 새로 불안증 진단을 받은 11만 명과 그렇지 않은 88만 명의 파킨슨병 발병 위험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50세 이후 불안증 진단을 받은 사람들은 파킨슨병에 걸릴 위험이 나이와 성별, 사회적 박탈감, 생활 습관 요인, 중증 정신질환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1920-2005), 로널드 레이건(1911-2004) 전 미국 대통령, 전설의 복서 무하마드 알리의 공통점은 모두가 ‘파킨슨병’ 환자였다는 사실이다. 1996년 미국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마지막 성화봉송 주자로 나온 알리가 온몸을 떨며 성화를 점화하는 감동적 장면을 기억하는 이들이 많다. 파킨슨병은 뇌에서 특정 신경전달 물질(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죽어가면서 몸이 떨리고 굳어가는 퇴행성 신경계 질환이다. 세계적으로 치매, 뇌졸중과 함께 3대 노인성 뇌질환으로 꼽힌다. 65세 이상 인구 중 1~2% 정도가 파킨슨병 환자로 알려져 있다. 매년 4월 11일은 ‘세계 파킨슨병의 날’(World Parkinson’s Day)이다. 1817년에 파킨슨병을 최초로 학계에 보고한 영국 의사 제임스 파킨슨(1755-1824)을 기념하기 위해 그의 생일인 4월 11일이 ‘세계 파킨슨병의 날’로 제정됐다. 파킨슨병의 상징은 ‘레드 튤립’이다. 1981년 파킨슨병을 앓던 네덜란드의 원예사가 세계 장애인의 해를 맞아 자신이 품종 개량한 빨간색 튤립에 ‘Dr. James Parkinson’라고 이름 붙인 데서 유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