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어든 경력단절…30∼34세 여성 고용률, 10년 전보다 15%p↑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30대 여성 고용률이 10년 전보다 최대 15%포인트 가까이 상승하며, 경력 단절을 나타내는 ‘M커브 곡선’이 둔화했다. ‘M커브 곡선’은 연령별 여성 고용률을 그렸을 때 30대 고용률이 하락해 M자 모양이 되는 그래프를 뜻한다. 20일 여성가족부와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4년 여성경제활동백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여성의 연령별 고용률은 2013년과 비교해 모든 연령층에서 올랐다. 특히 30~34세 고용률은 2013년(56.7%)보다 14.6%포인트나 증가한 71.3%로,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상승 폭이었다. 35∼39세 여성 역시 54.4%에서 64.7%로 10.3%포인트 상승했다. 이에 따라 남녀 고용률 격차는 2013년 22.2%에서 2023년 17.2%로 5.0% 포인트 감소했다. 30대 ‘경력 단절 여성’은 2023년 54만4000명으로 전년도 60만 명 대비 5만6000명 감소했다. 전체 경력 단절 여성도 전년 대비 4만8000명 감소한 134만 9000명으로 나타났다. 경력이 단절된 이유는 육아(56만 7000명)가 가장 많았고 결혼(35만 3000명), 임신·출산(31만 명), 자녀교육(6만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