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손상 사망자’ 10만 명당 58명이나 됐다
한국헬스경제신문 박건 기자 | 사망 원인 분류 중에 ‘손상 사망’이 있다. 질병을 제외한 각종 사고·재해 또는 중독, 자살 등 요인으로 발생하는 사망이다. 지난해 손상 사망자는 인구 10만명 당 58.3명으로 전체 사망 원인 중 약 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45세 미만 젊은 연령층에서는 질병을 제치고 사망 원인 1위였다. 질병관리청은 27일 손상 발생 통계 자료 분석집을 발간했다. 2024년 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인구 10만 명 당 174.3명(24.3%)으로 사망 원인 중 1위였다. 이어 심장질환이 두 번째로 사망자는 65.7명(9.4%), 세 번째는 폐렴 사망자 59.0명(8.4%), 그 다음이 손상 사망자 58.3명(8.3%) 순이었다. 손상 사망은 15∼24세에서 인구 10만 명 당 20.2명(68.6%), 25∼34세 33.6명(63.6%)으로 가장 많았다. 35∼44세에서는 10만 명당 41.5명(41.8%), 0∼14세는 4.2명(21.4%)이었다. 손상이 젊은 층 조기 사망의 주원인이어서 사회경제적 손실이 되고 있다고 질병청은 지적했다. 손상의 주요 원인은 추락·낙상, 교통(운수)사고, 자해·자살, 폭력 등이었다. 손상 중 자해·자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