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박건 기자 | 귀리(oat)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지역이다. 이후 유럽 전역으로 퍼져 재배가 되었다. 원래는 밀·보리 재배지에서 자라는 잡초였으나 추운 기후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북유럽 등에서 주요 곡물로 자리잡았다. 한국에서도 귀리가 생산되지만 생산량은 적다. 강원도 홍천, 평창, 철원이나 경북 안동 중심으로 소규모로 재배된다. 귀리는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 10대 슈퍼푸드다. 섬유질과 단백질이 풍부하면서도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 식품으로 자주 활용된다. 귀리는 벼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글루텐이 없는 통곡물이며 중요한 비타민, 미네랄, 섬유질 및 항산화제의 훌륭한 공급원이다. 귀리를 볶아 부수거나 납작하게 만든 것이 바로 오트밀이다. 따뜻하게 죽으로 즐기거나 간단히 갈아 셰이크로 만들어 마실 수 있다. 귀리는 서양에서는 오래전부터 건강식품으로 각광받아 왔다. 고기를 많이 먹는 서양사람 중에 혈관 질환이 적은 이유는 오트밀 덕분이라는 말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건강식품으로 인식되면서 해마다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다. 1. 섬유질 풍부 귀리에는 수용성 섬유질인 베타글루칸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식품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푸즈(Foods)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겨울밤에 온 가족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 까 먹는 신토불이 야식 군고구마. 식이섬유소와 영양이 풍부한 고구마는 수퍼 푸드다. 고구마(sweet potato)는 메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탄수화물이 풍부하고 병충해에 강해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 감자와 함께 전통적인 구황작물이었다. 오늘날에도 풍부한 단맛으로 널리 사랑받는 채소이다. 식용은 물론이고 제당 및 약품, 화장품 생산을 위한 공업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흔히들 감자의 형제로 많이 알려져있지만 같은 가지목에 속한다는 점을 빼면 생각보다 연관성이 없는 채소다. 감자는 덩이뿌리가 아니라 덩이줄기이고 토마토와 좀 더 가까운 친척이다. 반면에 고구마는 덩이뿌리고, 나팔꽃의 친척이다. 감자는 눈이 있는 곳에서는 모두 싹이 나오는 반면에 고구마는 줄기와 연결된 한 부분에서만 싹이 나온다. 고구마는 항산화 효과, 치매 예방, 다이어트 등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풍부한 식이섬유 고구마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대표적 채소다. 고구마 식이섬유는 다른 식품에 함유된 식이섬유보다 강한 흡착력을 가지고 있어 장기능을 활성화하고 담즙 노폐물, 콜레스테롤, 중금속 등을 흡착해 몸 밖으로 배출한다. 특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얼마나 시댁이 싫으면 ‘며느리는 시금치도 안 먹는다’는 말까지 생겨났지만, 시금치는 명실상부한 ‘채소의 왕’이다. 시금치는 ‘뽀빠이’ 덕을 많이 봤다. 그런데 철분이 엄청 많이 들어있어 시금치를 먹으면 뽀빠이처럼 힘이 난다는 건 잘못된 상식이다. 시금치의 철분 함유량은 다른 야채와 크게 다르지는 않다. 하지만 각종 비타민, 칼슘 구리 망간 등 무기질류, 섬유질, 항산화 물질 등 다른 영양소들이 풍부하게 들어있는 최고의 수퍼푸드다. 시금치를 먹으면 뽀빠이만큼 힘이 세질 수는 없어도 올리브처럼 날씬해질 수는 있다. 시금치(spinach)는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다. 내한성이 강해 전 세계에 널리 퍼졌다. 우리나라에는 15세기 무렵에 중국에서 들어왔다고 전해진다. 1596년 중국 명나라 이시진이 지은 약초학의 연구서 ‘본초강목’에는 “시금치는 혈맥을 통하게 하고 속이 막힌 것을 열어 준다”고 써져 있다. 시금치에는 비타민 C가 채소 중에서 제일 많이 들어 있다. 또한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A, 비타민 K, 나이아신, 엽산, 사과산, 구연산, 사포닌 등이 함유되어 있고 당질, 단백질, 지방, 칼슘, 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