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박건 기자 | 중년 남성 중에 통풍 환자가 많다. 통풍 환자 대다수가 남성인 이유는 여성보다 혈중 요산 수치가 높고 음주나 내장류, 붉은 육류와 같은 퓨린이 많은 음식에 더 많이 노출되기 때문이다. 여성은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폐경 전까진 발병이 드물지만, 폐경 이후에는 발병률이 증가한다. 에스트로겐은 요산의 배출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풍의 원인은 ‘요산’이다. 요산은 퓨린이 많이 함유된 음식이 대사되면서 생기는 노폐물이다. 퓨린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결정체로 변하고 이것이 관절의 연골, 힘줄, 주변 조직에 침착해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요산 결정은 관절 염증을 유발해 극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특별한 전조 없이 잠든 사이에 엄지발가락이나 발등, 발목 등이 극심하게 붓고 아픈 것이 특징이다. 만성 통풍(통풍성 관절염)으로 급성 발작이 반복되다 보면 관절이 변형되거나 신장 기능까지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통풍은 “발작이 없을 때의 관리”가 핵심이다. 통풍 치료의 근본은 요산 수치를 낮추는 것이다. 요산저하제나 요산배출 촉진제 등을 꾸준히 복용해 6.0mg/dL 이하로 요산을 낮춰야 한다. 약은 통증이 없어도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한다.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건수 기자 | 기온이 내려가고 술자리가 잦은 연말에는 특별히 조심해야 할 질환이 있다.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통풍이다. 기름진 안주와 과음은 누구에게나 건강에 좋지 않지만 통풍 환자나 고위험군이라면 위험은 더 커진다. 통풍은 혈액 내 요산 농도가 높아지면서 요산염 결정이 관절과 주변 조직에 침착돼 염증과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특히 발가락·발목·손가락·무릎에 통증이 나타난다. 통풍은 특히 겨울철에 악화한다. 찬 바람이 혈액 속 요산 침착을 더 활성화한다.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발생 빈도가 점점 늘어나고 만성 관절염이나 신장 기능 저하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비만한 남성은 통풍 고위험군이다. 살이 찌면 체내 요산 생성이 증가하고 나이 들수록 신장 기능이 떨어져 요산 배출이 어려워진다. 기름진 식습관과 스트레스는 젊은이들에게도 통풍을 부른다. 국내 통풍 환자는 2023년 기준 53만 명인데 매년 늘어나고 있다. 남성 환자가 여성보다 약 12배 많다. 여성은 폐경 전까지 여성호르몬 덕분에 요산 제거 능력이 뛰어나고 남성은 여성보다 단백질과 알코올 섭취량이 많은 것이 이유다. 통풍 환자들이 술을 마실 때 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