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이후 키가 급격히 줄면? "노화 아닌 척추 문제"
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나이 들어서 건강검진을 받을 때 키가 줄어들어 놀라는 중장년층이 적지 않다. 성인은 30세부터 키가 서서히 줄어들기 시작한다. 남성은 평균 3cm, 여성은 평균 5cm 정도 감소한다. 여성은 폐경 후 골밀도 감소가 가속화되면서 키가 더 많이 줄어든다. 하지만 그 원인이 단순 노화가 아닐 수 있다, 척추 질환에 의한 구조적인 문제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척추는 우리 몸의 기둥이다.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가 충격을 흡수한다. 30대 이후부턴 디스크 속 수분이 줄어들며 탄력이 떨어지고 척추 마디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퇴행성 질환이 진행돼 키가 작아질 수 있다. 문제는 단기간에 급격히 키가 줄어든 경우다. 키가 짧은 기간에 2~3cm 이상 줄어든 경우는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으로 보기 어렵다. 척추의 구조적 변화가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대표적인 게 척추압박골절이다. 척추 뼈가 주저앉듯 눌려 부러지는 현상이다. 이때 등이 구부정해지고 키가 줄어드는 변화가 생긴다. 60대 골다공증 여성 환자의 약 30%, 70대 여성의 약 40%가 척추압박골절을 경험한다는 통계도 있다. 하지만 통증이 심하지 않아 골절인지도 모른 채 지나가는 경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