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민관 협력 방식의 치매 예방 사업을 실시해 치매 전환율을 크게 낮춘 지자체가 있다.
충남 부여군은 2021년 7월 전국 최초로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치매로 발전하는 것을 늦추거나 막기 위한 사회성과보상사업(SIB) 방식을 도입했다.
3년 가까이 운영한 결과 지난 3월 말 기준 치매로 발전한 사람은 3.8%로 나타났다.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치매 전환율이 평균 15% 정도인 것과 비교해 볼 때 매우 낮은 수치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노년 10명 중 1명은 치매를 앓고 있다. 지난해 기준 98만 명인 치매 추정 환자는 2050년 314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쓰는 치매 예방 및 관리 비용만 20조 원을 넘어섰다.
군과 계약을 체결한 민간기업은 맞춤형 12주 기억 챙김 프로그램, 인공지능(AI) 돌봄 서비스를 통한 전략적 기억훈련, 담당 매니저 방문과 AI 스피커 활용 등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추진해왔다.
SIB는 기업이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사업에 사업비를 투자해 일정한 성과를 내면 지방자치단체가 투자금과 인센티브를 주는 복지정책이다. 성과를 내지 못하면 투자금을 회수할 수 없다.
박정현 군수는 최근 서울 은평구, 서울 성동구, 안양시, 광명시 등 13개 지방자치단체가 모인 ‘초고령사회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포럼에서 부여군의 경우가 정부의 치매관리 비용을 낮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군수는 “치매 이환율 3.8%는 부여군 기준으로는 연간 206억 원의 사회비용을, 전국적으로는 7조 원의 사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치”라며 “치매는 사후 대처보다 사전 대비가 중요한 만큼 적극적인 예방사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