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윤해영 기자 |
저출생, 난임부부의 증가 등으로 남성 불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난임 문제에서 남성 요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대개 전체 난임의 30-50% 정도로 여겨진다.
남성의 가임력은 생활습관 등을 포함한 복합적이고 다양한 요소가 종합적으로 나타나는 결과인 경우가 많다. 남성 난임 환자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정부도 지난해 4월부터 남성을 대상으로 산전검사 필수 항목 중 정액 검사 비용을 일부 지원하기 시작했다.
남성 난임은 크게 ▶무정자증 ▶정자 무력증 ▶희소정자증 ▶정계정맥류 ▶염색체 이상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임신과 관련된 내과 및 생식계 병력, 약물복용, 과거 수술 등에 대한 문진 및 음낭, 고환, 부고환, 정관 등 신체검사는 남성 난임의 진단에 있어 기본적으로 중요한 부분이다.
정액 검사, 호르몬 혈액검사, 유전자 및 염색체 검사, 영상학적검사, 고환 조직검사, 정자 DNA 손상검사 등을 한다.

무정자증은 곧 불임이란 인식이 강하지만, 요즘엔 원인을 규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질환으로 본다.
의학적으로 무정자증은 정액 검사에서 정자가 보이지 않는 상태다. 크게 폐쇄성과 비폐쇄성으로 구분한다.
폐쇄성 무정자증은 고환에서 정자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지만, 부고환이나 정관 등 이동 경로가 막혀 정자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다. 이땐 외과적 시술로 정자의 이동 통로를 복구하거나 정자를 직접 채취하는 방법으로 임신을 시도할 수 있다.
반면에 비폐쇄성 무정자증은 고환에서 정자가 제대로 생성되지 않는 상태다. 호르몬 이상이나 유전적인 요인, 고환의 구조적인 문제 등 원인이 다양하다. 호르몬 치료나 미세 수술로 정자를 채취하는 방법이 있다. 최근엔 극소량의 정자라도 채취할 수 있는 정밀 수술 기술이 발전하면서 임신 성공률이 높아졌다.
남성 난임 환자 비율이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남성난임클리닉을 운영하는 병원도 많아졌다. 전문가들은 “남성 난임은 무엇보다 잘못된 편견으로 치료를 미뤄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