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 백수정 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 입원조제파트장 바쁜 일상과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습관으로 현대인의 간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피로감이 쌓여도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경우가 많지만, 간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간 보호제는 간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으면 기대한 효과를 얻기 어렵다. 간 보호제와 피로 해소의 관계 간은 우리 몸의 에너지를 관리하고 피로 물질을 해독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간이 건강하지 않으면 에너지 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피로가 쌓이기 쉽다. 특히 간은 체내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에너지원으로 전환하고, 암모니아와 같은 피로 유발 물질을 제거하는 일을 한다. 간 보호제는 간세포를 보호하고 간의 해독 작용을 활성화하여 간 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밀크시슬에서 추출한 실리마린 성분은 손상된 간세포를 회복시키고 해독 효율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며 피로 해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피로의 원인은 간 문제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 보호제는 어떤 역할을 할
한국헬스경제신문 | 신형식 (재)서울의과학연구소 병리과 전문의 술은 언제부터 빚고 마시기 시작했을까 술의 역사는 아마도 인류의 역사와 같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바 위가 움푹 파인 곳에 모아 둔 과실에 공기 중 효모가 들어가 저절로 발효 과정을 거치며 술이 되었고, 이 자연발생적인 술을 맛 본 후에 사람이 직접 만들기 시작했을 것이다. 실제로 농경 시대 에 접어들어 곡류를 원료로 한 곡주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기원전 3000년경의 이집트 유적에서 맥주 양조에 관한 자료들이 발견되고 우리나라도 고구려 동명성왕의 건국담 일화 중 천제의 아들 해모수가 아내와 함께 술을 먹은 후 주몽을 잉태하게 했다는 내용이 『삼국사기』에 있다. 술의 역사는 곧 인간의 역사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술이 현대인들에게는 골칫거리의 하나이다. 술자리를 일부러 피하기도 힘들고 술을 먹으면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중독이나 음주 운전 등과 같은 문제도 생길 수 있다. 과음은 호흡 중추 마비로 사망에도 이를 수 있어 모든 술의 주성분은 에틸알코올과 물이다. 그외 향료 등이 소량 섞여 있다. 술이 입을 통하여 위로 내려가면 적은 양은 위벽의 혈관으로 흡수된다. 그러나 알코올 농도가 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