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 이은직 하나로의료재단 호르몬건강클리닉 원장, 내분비내과전문의 건강검진 중 초음파로 갑상선 결절(종양)이 발견되는 경우는 생각보다 흔하다. ‘갑상선에 혹이 있다’는 말을 들으면 혹시 암일까 걱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갑상선 결절이 악성(암)일 확률은 전체 결절의 5%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적극적인 검사로 양성인지 악성인지 파악해 대응하는 것이다. 갑상선 결절이란 무엇인가 갑상선 내 세포의 과증식으로 혹이 생기는 경우를 갑상선 결절이라고 한다. 성인의 약 5%에서 발견되며, 나이가 들수록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여성에게서 3~4배 더 많이 나타난다. 결절은 원인과 특성에 따라 과증식성 결절, 콜로이드 결절, 염증성 결절, 낭성 결절 그리고 암이 포함되는 종양성 결절로나뉜다. 이 중 과증식성 결절은 요오드 결핍 등과 같이 갑상선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환경인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 원인이 확실하지 않다. 대다수 결절은 서서히 자라고 초반에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바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도 하나, 크기가 커져서 육안으로 보일 정도가 되면 식도나 기도를 압박해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다. 간혹 결절 내로 출혈이 발
한국헬스경제신문 | 이은직 하나로의료재단 원장(내분비내과 전문의) 갑상선 질환이란 갑상선은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유난히 추위 혹은 더위를 많이 타거나, 식사량에 변화가 없는데도 갑자기 체중이 확 늘거나 감소한다면 갑상선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갑상선에 문 제가 생기면 그 영향은 우리 몸의 거의 모든 부분에 미칠 수 있다. 우리 몸의 에너지를 과잉 소모하거나(갑상선 기능 항진증), 에너지가 생산되지 않아 무기력해지는 증상(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발생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변화 를 체질이라고 여길 뿐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지나치기도 하는데, 방치할 경우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질환이다. 항진증은 호르몬이 지나치게 많이 분비되어 대사가 활발해지면서 땀이 많이 나고 더위를 심하게 느끼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식욕이 증가하여 식사량이 많은데도 체중 감소가 나타나고 심해지면 눈이 튀어나오는 안구 병증이 생기기도 한다. 반면 저하증은 호르몬이 적게 분비되어 대사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여름이 됐다지만 유난히 땀이 많이 나고 남보다 더위를 많이 탄다면 갑상샘 이상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갑상샘은 목 중앙에 나비 모양으로 생긴 내분비기관이다. 갑상샘 호르몬을 혈액으로 내보내 심장 운동, 위장관 운동, 체온 유지 등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조절함으로써 모든 기관이 제 기능을 적절히 유지하도록 해준다. 이 호르몬이 대사가 빨라져 정상보다 많이 분비되면서 몸의 에너지가 빨리 소모돼 기능이 떨어지는 질병이 '갑상샘기능항진증'이다. 몸이 필요 이상의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것인데, 남는 에너지는 열과 땀의 형태로 발산돼 환자는 유난히 더위를 느끼게 된다. 갑상샘 기능이 떨어지면 심박 수가 빨라지고 혈압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다. 빠르게 숨이 차고 지치며 체중이 빠진다. 환자의 약 3분의 1에서는 눈이 앞으로 튀어나오는 안구 돌출 증상도 발견할 수 있으며 배변 횟수가 증가하며 때로는 설사를 하기도 한다. 신경이 예민해지고 불안해져 흥분을 잘 하고 주위 사람들과 다투는 경우가 많다. 갑상샘기능항진증은 여름에 발병이 잘 되며 재발 혹은 악화되기 쉽다. 시원한 곳인데도 덥게 느껴지고, 가만히 있어도 계속 더위가 느껴지며 땀이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