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우리나라도 말라리아 안전지대가 아니다. 북한 접경지대 숲에 말라리아 매개 모기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말라리아 환자는 4∼5월 증가세를 보이다가 6∼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여름 휴가철에 야외 활동과 이동이 늘어나 말라리아 매개 모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31일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이날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는 모두 387명이다. 월별로는 1월 5명, 2월 2명, 3월 10명, 4월 17명, 5월 75명, 지난달 121명, 7월 157명 이다. 이 추세라면 8∼9월에도 100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돼 연말까지는 500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경기 209명, 서울 67명, 인천 57명 등 수도권 환자가 333명으로, 전체의 86%를 차지했다. 올해 1∼7월 말라리아 환자 수는 2022년의 211명보다는 많고 지난해(연간 747명) 460명보다는 적다.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2015년 이후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전까지 500명대, 600명대를 유지하다 2020년 385명, 2021년 294명까지 감소했다. 국내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말라리아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여름이 시작되면서 말라리아 환자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야외활동에 모기를 조심해야 한다. 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는 모두 100명이다. 이중 지난달에만 절반이 넘는 66명이 발생했다. 지난 1∼4월에는 34명에 불과했다. 국내에서 말라리아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6∼8월로, 전체 환자의 60% 가량이 여름철에 발생한다. 747명이 발생한 지난해에는 6∼8월에 358명이 발생해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지난 5개월간 경기 61명, 서울 14명, 인천 10명 등 85%가 수도권에서 발생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말라리아는 삼일열 원충에 감염된 얼룩날개모기류 암컷에 의해 전파된다.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게 물린 후 인체에서 감염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는 2주~수개월의 시간이 걸린다. 증상은 오한, 발열, 발한 등이 전형적이다.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률은 10% 이상이며 치료해도 0.4∼4%의 환자가 사망에 이른다. 백신은 없다. 가능한 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필요한 경우 예방약
한국헬스경제신문 이상혁 기자 | 방역당국과 경기도가 군부대가 많은 경기북부에서 말라리아 퇴치에 공조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9일 오후 경기도청 북부청사를 방문하여, 오후석 경기도 행정부지사와 함께 2024년 경기도 말라리아 퇴치사업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번 현장방문은 질병청의 「제2차 말라리아 재퇴치 실행계획(2024~2028)」 발표(4.25.) 후, 접경지역인 경기 북부의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수립된 ‘2024년 경기도 말라리아 퇴치 시행계획’을 점검하고 질병청과 경기도가 협력하여 성공적인 수행을 다짐하는 장이 되었다. 특히 질병관리청과 경기도는 이번 제2차 실행계획의 추진전략 및 중점 추진과제인 ▲능동감시를 통한 신속한 환자 발견 및 꼼꼼한 역학조사, ▲선제적인 무증상감염사례 적극적인 확인, ▲조기 진단과 환자 완치율 향상으로 매개모기와 환자 간 전파고리 차단, ▲매개모기 감시 및 방제 강화 등이 환자 다발생 지역인 경기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말라리아 발생 위험지역 내에서 체계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정책적 의지와 기술적 지원을 약속하였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과 말라리아 감염 주의보 및 경보를 위한 매개모기의 밀도 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