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헬스경제신문 김기석 기자 | 나이가 들어가면서 심장 돌연사의 주범인 급성 심근경색으로 스텐트 시술을 받는 사람들이 많다.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면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 상황을 심근경색이라 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심근경색 발생 건수가 3만4969건으로 10년 전인 2012년(2만 3509건)보다 약 1.4배 증가했다. 첫 발생과 재발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특히 재발 증가율이 119%로 높다. 심근경색이 무서운 이유는 바로 재발이 잦은데다 재발이 치명적이라는 점이다. 심근경색은 첫 발생 시 사망률이 20~30% 수준으로 높은 편인데, 재발하면 사망률이 68~85%까지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미 심근경색증으로 스텐트 시술을 받은 사람은 재발을 막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게 있다. 바로 철저한 LDL 콜레스테롤 관리다. 안타깝게도 LDL 콜레스테롤 관리가 중요한 국내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 4명 중 3명은 LDL
한국헬스경제신문 한기봉 기자 | 심근경색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히면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응급질환이다. 급성심근경색을 포함한 심혈관 질환은 한국인 사망 원인 2위다. 대기오염이 급성심근경색 유발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나승운 교수 연구팀은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되면 초응급질환인 ‘ST절 상승 심근경색’을 비롯해 심인성 쇼크 합병증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논문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했다고 12일 밝혔다. ‘ST절 상승’은 심장의 큰 혈관이 혈전 또는 강력한 혈관 수축 등의 원인으로 폐쇄될 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심전도 파형이다. ST절 상승 심근경색은 그렇지 않은 유형의 심근경색보다 더 급박하게 조치해야 하는 초응급질환이다. 연구진은 ‘한국인급성심근경색 레지스트리’에 2006~2015년 신규 등록된 19세 이상 급성심근경색 환자 4만 5619명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기존의 연구 대부분은 주로 단기간의 대기오염 노출과 급성심근경색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데 중점을 뒀으나, 이번 연구는 장기간의 고농도 대기오염 노출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